국내 식량안보 빨간불 |
김학용 의원, 쌀의 증산·수요확대 위한 정책방안 토론회 |
쌀쿠폰 무상지원, 쌀 120만톤 비축제도 법제화 등 쌀가공산업 활성화 방안 모색
기상이변에 따른 쌀 생산의 불확실성이 증대하고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저가의 수입 쌀이 늘어 국산 쌀의 경쟁력이 악화 될 가능성과 급등하는 국제곡물가격으로 국내 식량안보의 위험성이 제기됐다.
▲김학용 국회의원 쌀 산업의 위상을 제고하고 국내쌀의 경쟁력 강화와 그리고 국내 쌀 생산의 불확실성과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쌀의 증산·수요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토론회가 16일 새누리당 김학용 국회의원 주최로 국회에서 개최 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장윤석 이주영, 김재원, 윤명희, 홍지만, 손인춘, 류지영, 김진태, 김종태, 경대수, 원유철, 성완종, 정희수, 김한표, 김광림, 안덕수 국회의원이 참석해 국내 식량안보의 문제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또 쌀가공산업의 지속적인 성장·발전을 위한 여러가지 의견이 제시됐다.
김학용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국내 식량자급률은 2011년 기준으로 45.3%, 곡물 자급률은 24.3%로 이 중 쌀 자급률은 83.2%에 해당 한다”며 “그러나 국제 곡물가격의 불안전성이 심화될 경우 국내 식량안보에 위기를 맞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토론회를 통해 쌀 증산과 수요 확대를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 학계, 정부관계자, 각계의 전문가들이 함께해 쌀 농가를 비롯한 국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토론회를 찾은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최근 벼 재배면적의 지속적인 감소와 자연재해로 인해 식량생산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식량안보의 기틀을 확보하고 국내 식량 생산을 확대해 자급률을 높여야 할 때”라며 “약 25만ha로 추정되는 유휴지를 농지로 복구해 산지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관회 한국쌀가공식품협회장 박관회 한국쌀가공식품협회장는 환영사를 통해 “지난 2년간 흉작으로 쌀의 생산량과 소비촉진이 감소했으며 쌀 가공산업의 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식량안보 및 자급률을 높이고 농민 소득보전 쌀 가공산업의 안정적 기틀을 유지해 쌀의 생산을 획기적으로 창출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토론회를 통해 국내 쌀 증산과 수요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이 마련돼 식량안보 확보와 농가, 쌀가공산업이 상생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제발표에서는 성명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가 쌀 수급현황과 문제점을 제기 했다.
성 연구원은 기상이변에 따른 생산 불확실성 증가와 지속적인 쌀 소비량 감소, 수 입쌀 증가로 국산 쌀의 경쟁력 약화를 꼽았다. 이에 시사점으로 국산 쌀 경쟁력 약화에 대응한 쌀자급 과 생산전략 마련하고 식량의 안정적 확보, 불확실성한 국내 생산과 수요시장의 변화에 대응한 식량 정책의 재조정을 제시했다.
▲김학용 의원
이철호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교수 쌀의 자급과 수요 창출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발표에서 한국의 식량자급률이 급격한 수치로 떨어지고 있으며 쌀 생산량의 변화에서 있어서 2011년 422만 4천톤, 2012년 400만 6천톤 이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를 개선하고 식량안보 확보를 위해 쌀 소비확대를 위한 정책 시행, 통일대비 비축량 확보, 쌀 증산정책 시행, 쌀 자급률 제고와 세계 식량위기 대비체제 확립을 강조 했다.
이어서 진행된 종합토론에서 신동화 전북대학교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김용택 박사, 박상희 실장, 송광현 전무 등이 패널로 참석했다.
▲박관회 한국쌀가공식품협회장
이 자리에 송광현 한국쌀가공식품협회 전무는 “현재 쌀 식부면적의 감소하고 서구화된 식생활로 쌀 소비량이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기상이변으로 쌀 생산량과 국제 곡물가 변동폭이 확대되어 국내외 식량여건이 불안정한 상활에 전개 되고 있다”며 “국내 살 자급률 향상을 위해 소비기반 확충과 쌀 자체의 경쟁력을 높이고 쌀가공산업의 활성화가 무엇 보다 필요 하다”고 말했다.
이어 “쌀가공산업에서 가장 큰 문제는 가공원료 공급의 불안정성에 있다 쌀가공산업의 지속적인 성장·발전을 위해 자체 원료조달체계 구축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주제발표에 대한 정책방안의 소견으로 ▲쌀쿠폰 무상지원 ▲쌀의 등급화 제도 ▲쌀 120만톤 비축제도 법제화 등을 제시 했다.
토론회는 학계와 쌀 가공산업관련관계자, 정부 관계자, 농민 등 총 300여명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