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곤충, 영양 풍부한 식품으로 공식화…미래 식량으로 각광 - 식품음료신문
[ 2014-07-17 11:56:53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842        
링크 #1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250 , Hit: 5463


곤충, 영양 풍부한 식품으로 공식화…미래 식량으로 각광


갈색거저리 애벌레 한시적 식품 원료로 인정
농진청, 안전성 입증 및 제조공정 확립…요리도 개발
2014년 07월 17일 (목) 09:41:25 김현옥 기자 hykim996@thinfood.co.kr

곤충이 우리 식탁에 공식적으로 올라 미래 식량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는 제도적인 길이 열렸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곤충의 식용화를 위해 갈색거저리 애벌레에 대한 제조 공정 확립, 영양 성분 분석, 독성 시험 등 과학적인 안전성 입증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15일 갈색거저리 애벌레를 새로운 식품 원료로 한시적 인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한시적 식품 원료로 인정을 받으면 승인받은 형태와 제품으로만 식품 판매가 가능하며, 일정 기간 동안 문제가 없으면 일반 식품 원료로 등록할 수 있다.

그동안 메뚜기와 누에 번데기는 국내에서도 오래 전부터 식품 원료로 이용해 왔지만, 과학적인 안전성 입증을 거쳐 한시적 식품 원료로 인정된 곤충은 갈색거저리 애벌레가 처음이다.

농진청은 이번에 갈색거저리 애벌레를 식품 원료로 신청하기 위해 곤충 특유의 좋지 않은 맛과 냄새를 없앤 후 살균 처리한 다음 동결 건조해 원래 형태나 분말 형태로 사용하는 제조 공정을 확립했다. 또, 영양 성분을 분석해 갈색거저리 애벌레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매우 높아 영양 가치가 우수함을 확인했다.

   
△식품 원료로 한시적 인정을 받은 갈색거저리 애벌레(왼쪽)와 식용화를 위해 연구 진행중인 흰점박이꽃무지(오른쪽 위), 장수풍뎅이(오른쪽 아래).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갈색거저리 애벌레의 건조 분말은 단백질 45%∼57%, 지방 25%∼34%, 탄수화물 8%∼11%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은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75% 정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불포화지방산 중 하나인 올레산이 100g당 13.55g 함유돼 있다. 이밖에 무기질 중 인과 철이 풍부하고, 비타민은 B3와 B5가 많이 포함돼 있다.

인체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도 거쳐 갈색거저리 애벌레가 인체에 위험이 없음을 확인했다. 유해 물질 분석에서 중금속이나 병원성 세균 등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동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혈청 시험과 독성 시험에서 모두 음성 결과가 나왔다.

이번에 갈색거저리 애벌레가 식품 원료로 인정됨에 따라 앞으로 곤충 사육 농가의 소득 증대는 물론, 곤충 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현재 주 단백질원인 17조 원 규모의 국내 육류 시장을 고단백 곤충 식품이 1%만 대체해도 약 1,700억 원대의 곤충 식품 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동안 곤충 농가에서는 민간에서 먹어온 갈색거저리와 굼벵이 등 곤충의 식품 원료 인정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또한, 농식품부는 곤충을 활용한 식품 시장의 활로를 개척하기 위해 곤충 자원의 식품 원료 등록을 핵심 규제 개선 과제로 선정해 농진청과 공동으로 추진해왔다.

농식품부와 농진청은 앞으로 갈색거저리 이외에도 흰점박이꽃무지, 장수풍뎅이, 귀뚜라미도 식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연구가 마무리되는 대로 새로운 식품 원료로 신청할 계획이다. 식용 곤충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 곤충을 이용한 조리법과 메뉴들을 개발하고, 유아나 노인, 환자를 위한 특수의료용 식품 개발도 연구 중이다.

농진청 곤충산업과 윤은영 연구사는 “이번 갈색거저리의 식품 원료 인정은 앞으로 곤충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 건강에 기여함은 물론 미래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134/191, 총 게시물 : 3809
1149 똑똑한 사람의 비밀은 '아침밥'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4-07-23 47 6298
1148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4-07-23 47 6134
1147 쌀 관세율 504% 수준 전망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4-07-23 47 6167
1146 ‘고율관세 확보’에 우리쌀 명운 걸렸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4-07-23 47 6161
1145 수입쌀 값 떨어지면 식량 자급률도 하락 가능성 - 경향신문 관리자 2014-07-21 47 6443
1144 위기의 '식량 주권'…쌀 산업 경쟁력 강화가 살 길 - 세계일보 관리자 2014-07-21 47 6687
1143 내년부터 쌀 관세화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4-07-21 47 5944
1142 내년부터 쌀 관세화 결정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07-18 47 6572
1141 나트륨 줄인 식품 해마다 증가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07-18 47 7527
1140 ‘소비자원 유기농 카놀라유 GM 추정’은 잘못 결론 - 식품저널 관리자 2014-07-17 47 7601
곤충, 영양 풍부한 식품으로 공식화…미래 식량으로 각광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07-17 47 7843
1138 제한된 면적에 늘어나는 '식품표시' 실효성 의문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07-16 47 7728
1137 전중윤 회장님의 소천을 애도함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07-15 47 6272
1136 식품 대기업 R&D엔 R이 없다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07-14 47 6642
1135 쌀 생산농가 보호대책부터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4-07-14 47 6367
1134 수입콩 헐값 유통 어떻게 해야하나 - 농민신문 관리자 2014-07-11 47 6256
1133 “소비자도 시중서 가공용 수입콩 구입 정황” - 농민신문 관리자 2014-07-11 47 6488
1132 작년산 국산콩 2만t 아직도 판로 못찾고 창고서 ‘낮잠’ - 농민신문 관리자 2014-07-11 48 7604
1131 식품도 ‘다이어트’ 바람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07-11 47 8442
1130 농업을 통해 바라본 세상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4-07-11 47 6118
첫 페이지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