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소금 적정량 이하 섭취 심혈관 질환 증가" - 푸드투데이
[ 2014-11-14 10:18:59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600        
링크 #1  
http://www.foodtoday.or.kr/news/article.html?no=121051 , Hit: 5852

"소금 적정량 이하 섭취 심혈관 질환 증가"

소금박람회 심포지엄서 맥캐런 교수 "나트륨 정책 비과학적 잘못된 가정 기반"

푸드투데이 노태영기자2014.11.12 18:23:55

2014 소금박람회 심포지엄
▲2014 소금박람회 심포지엄




우리나라 1인당 나트륨 섭취량이 WHO 권장 기준 2배를 뛰어 넘고 있다. 이에 나트륨 줄이기 캠페인이 비과학적인 잘못된 가정에 기반을 둔 결과로 분석되며, 오히려 적정량 이하의 소금을 섭취할 경우 심혈관질환과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낙연 전남도지사
▲이낙연 전남도지사
전라남도(도지사 이낙연)에 따르면 12일 개막한 '2014 소금박람회' 심포지엄에서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데이비드 맥캐런 (David.A, McCarron)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미국 내과협회 회원 이자 미국 고혈압 협회 창립 맴버인 맥캐런 교수는 이날 '공공정책이 아니라 뇌가 소금 섭취량을 결정한다-과학의 슬기' 주제로 기조 발제 했다.


맥캐런 교수는 기조 발표를 통해 나트륨 섭취량은 나트륨 줄이기 정책이 비과학적인 잘못된 가정에 기반을 둔 정책이라는 과학적 근거를 발표했다.


또한 맥캐런 교수는 " 소금의 하루 적정 섭취량은 7.1~13.9g 이다. 최근에 나온 여러 결과를 보면 이 이하를 섭취할 경우 오히려 심혈관 질환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다른 여러 가지 건강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맥캐런 교수는 "현재의 나트륨 줄이기 정책은 소금을 적게 섭취할수록 건강에 더 좋다는 잘못된 가정, 그리고 소금 섭취는 실제로는 생리학적 요구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지금까지 소금 섭취량을 결정할 때 혈압을 많이 고려했는데 앞으로 혈압보다는 다른 지표를 이용해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또 목포대학교 천일염연구센터의 함경식 교수가 ‘소금 종류에 따른 활성산소 발생과 세포내 소기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란 주제 발표를 통해 미네랄이 많은 한국산 천일염이 일반 소금보다 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활성산소가 적게 발생한다는 연구 내용을 발표했다.


양근석 전남도 수산유통가공과장은 “최근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가 당뇨, 치매 등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된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 결과는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며 “지난해부터 미국, 유럽 등 학계에서 소금논쟁이 더욱 심해지면서 세계적으로 건강에 좋은 소금의 수요가 늘고 있는 가운데 이번 발표는 한국산 천일염이 일반 소금보다 건강에 좋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것이어서 앞으로 한국산 천일염의 앞길이 밝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푸드위크 2014 소금 박람회 개막
▲푸드위크 2014 소금 박람회 개막




128/191, 총 게시물 : 3809
1269 수퍼푸드는 없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4-12-08 47 6627
1268 영화 ‘인터스텔라’ 속 식량 에너지 문제 심층 분석! - SK에너지 블로그 관리자 2014-12-03 46 15249
1267 이모작을 실천 식량을 자급하자 - 충북일보 관리자 2014-12-02 46 7484
1266 상생과 통합의 ‘무역이득공유제’ - 농민신문 관리자 2014-11-28 47 6797
1265 나트륨, WHO 섭취 권고량의 2~3배 먹는다고 겁주지 말라…한국인 위한 권장량 설정해야 - 식품저널 관리자 2014-11-27 47 6608
1264 콩세계과학박물관 건립에 부쳐 - CNB저널 관리자 2014-11-27 47 6322
1263 한식의 미래, 세계화에서 길을 찾다 - 문화재 사랑 관리자 2014-11-24 1714 6474
1262 조제분유 나트륨 논란, 진실 왜곡하지 말아야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4-11-24 46 6522
1261 국가 연구개발(R&D) 투자 누구를 위한 것인가?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11-24 47 6967
1260 GM 활용 등 식량 다양성 강화 필요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11-24 47 6688
1259 ‘GMO 악령’ 식량안보 흔들다 - 더 스쿠프 관리자 2014-11-20 47 7382
1258 농산물 지속적 소비촉진정책이 필요하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4-11-19 47 8490
1257 핍박 받던 발효조미료 MSG ‘무사 귀환’ - 식품저널 관리자 2014-11-17 46 8723
1256 영국, "비만.당뇨 발생률 패스트푸드점 수와 연관" - 푸드투데이 관리자 2014-11-14 47 7980
"소금 적정량 이하 섭취 심혈관 질환 증가" - 푸드투데이 관리자 2014-11-14 47 7601
1254 정식품 정재원 명예회장, 세계 최초 ‘콩세계과학관’ 건립에 2억 후원-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11-13 47 6822
1253 천일염, 활성산소 억제…세포손상ㆍ염증 막는다 - 식품저널 관리자 2014-11-12 47 6790
1252 “소금 섭취량은 ‘공공정책’이 아니라 뇌가 결정한다” - 식품저널 관리자 2014-11-12 47 6656
1251 우리음식의 뿌리 ‘전통장류’ 살려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4-11-11 46 6950
1250 “식품 공포감 조성 ‘닥터테이너’ 사회적 책임 가져야”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4-11-10 46 7386
첫 페이지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