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농축산물과 우리 쌀의 콜라보 - 농수축산신문
[ 2015-07-21 16:51:38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329        
링크 #1  
http://www.af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083 , Hit: 5268

[미소365] 농축산물과 우리 쌀의 콜라보   3. 밥버거


한끼를 먹더라도 ‘건강하게’


- 다양한 상품개발·국내산 쌀 사용 ‘문전성시’


▲ 봉구스 밥버거는 김제와 서천 쌀을 사용해 건강하고 간단한 한 끼를 제조·판매하고 있다.


전국에 ‘밥버거’ 열풍이 불고 있다.

열풍의 주인공은 바로 ‘봉구스 밥버거’(대표 오세린)로 2009년 길거리 장사로 출발, 2011년 1호 가맹점을 시작으로 5월 현재 전국적으로 1020호의 가맹점을 거느리고 있으며 연매출 2000여 억원을 자랑하고 있다.

쌀 소비의 새로운 트렌드를 창출하고 있는 봉구스 밥버거 서울 역삼동 본사를 찾아갔다.

# 신개념 주먹밥

봉구스(bongousse)는 불어로 ‘맛있는 한입거리’라는 뜻으로 대표인 오세린씨의 예명이기도 하다.

밥버거는 청년 ‘봉구’(오세린)가 자신의 학창시절 먹을 게 마땅치 않아 늘 배고팠던 생각을 하며 학생들에게 ‘영양과 맛’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든든한 한 끼를 해결해주고자 하는 생각으로 만든 신개념 주먹밥.

지난 2009년 수원 지역 한 중?고등학교 앞에서 길거리 장사로 ‘밥버거’를 팔기 시작했다. 맛도 있으면서 한 끼 식사로 손색이 없었던 만큼 ‘밥버거’의 인기는 날로 높아져 학생들이 아예 학교 급식 대신 ‘밥버거’를 사먹는 일이 많았다. 이 후 ‘봉구스 밥버거’란 이름으로 작은 가게를 시작했고 입소문이 나면서 사람들이 하나 둘 씩 찾아와 ‘봉구스 밥버거’ 가맹점을 내고 싶다는 요청이 오면서 본격적인 프렌차이즈 사업을 시작한 것이다.

2011년 1호 가맹점을 내면서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 지난해 987호 가맹점을 오픈한데 이어 지난 5월 1020호를 개점, 올해 안에 1030호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봉구스 밥버거는 서울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매장이 있으며 주로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학원가 상권은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다.

현재 시판하고 있는 밥버거 메뉴는 가장 인기 있는 봉구스밥버거(1800원)를 비롯 봉순이밥버거, 햄밥버거, 치즈밥버거, 김치떡갈비밥버거 등 모두 26가지에 달한다.

# 건강한 한끼식사

‘봉구스 밥버거’가 이처럼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이유는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식사이기 때문이다. 특히 ‘밥’으로 만든 버거라는 점에서 ‘정크 푸드’가 아닌 ‘패스트 푸드’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또 맛의 비밀은 자체 개발한 ‘분말’에 있으며 시장이 선호하는 상품 개발을 위해 별도의 R&D(연구개발)연구실을 두고 분기마다 1~2개의 메뉴를 개발 중이다.

봉구스 밥버거는 또한 재료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쌀’만은 국내산을 고집하고 있다. 현재 김제와 서천 지역의 민간 RPC(미곡종합처리장)와 오뚜기를 통해 쌀을 구매 중이며, 연간 쌀 사용량은 무려 약 1만톤에 달한다.

김종원 봉구스 밥버거 본부장은 “봉구스 밥버거는 우리 학생들이 주로 먹는 ‘한끼 식사’인 만큼 당연히 국내산 쌀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하고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 개발에 주력, 한끼에 먹을 수 있는 건강한 음식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봉구스 밥버거’를 필두로 현재 뚱’TM 밥버거, 쉐프밥버거, 밀크밥버거 등 유사 프랜차이즈 등이 생기는 등 새로운 ‘밥버거 시장’이 창출되고 있다.


최상희 기자 sanghui@aflnews.co.kr



121/191, 총 게시물 : 3809
1409 식량 주권, 쌀 소비 활성화가 답이다 - 서울경제 관리자 2015-07-22 46 7002
1408 상미기한(賞味期限)으로 식량을 아끼자 - 글로벌이코노믹 관리자 2015-07-22 1657 7245
농축산물과 우리 쌀의 콜라보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5-07-21 46 7330
1406 삼시세끼 골고루 먹으면 우리 농산물이 슈퍼푸드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5-07-21 46 7596
1405 교황의 기후변화 환경 메시지 - CNB저널 관리자 2015-07-20 46 6491
1404 신음하는 청춘들, 아버지 세대에 고함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7-15 46 6556
1403 쌀 등급표시제 개선 시급하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5-07-15 46 6728
1402 식품 유통기한 넘었다고 안 먹으면 ‘바보’ - 코메디닷컴 관리자 2015-07-15 46 6500
1401 쌀 가공식품 연구 다시 시작하자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7-13 46 6531
1400 음식물쓰레기 넘쳐나는데...대형마트 재고식품 기부 인색 - 푸드투데이 관리자 2015-07-10 46 10621
1399 [화제의 신간]이철호 외 ‘한반도 통일과 식량안보’ - CNB저널 관리자 2015-07-09 46 6921
1398 곡물자급률 OECD 최하위권… 대책은 겉돌아 - 세계일보 관리자 2015-07-08 46 18090
1397 약해지는 식량안보 - 세계일보 관리자 2015-07-08 46 13653
1396 식품첨가물 논란, 마침표 찍어야 할 때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7-08 46 7583
1395 네덜란드저널 서평 - FOOD WAR 2030 관리자 2015-07-07 1516 6486
1394 How I Got Converted to G.M.O. Food - The New York Times 관리자 2015-07-02 46 17962
1393 민족의 건강 지킴이 ‘콩’…활용도 높여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5-06-29 46 6464
1392 남북통일 후를 상상해 봤는가? 관리자 2015-06-29 46 6431
1391 한·중 FTA 피해 추계 다시 해야 한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5-06-26 46 6368
1390 미국 과체중 또는 비만 인구, 2/3 넘어서 - 식품안전정보원 관리자 2015-06-26 46 6278
첫 페이지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