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연구소소개 |연구사업 |학술회의 |소식/안내 |자료실 |동영상/갤러리 |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식량안보 '비상', 우리나라의 현주소는? - 이코노믹리뷰
[ 2016-02-29 16:17:39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070        
링크 #1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81230 , Hit: 5681

식량안보 '비상', 우리나라의 현주소는?

중국-미국의 식량 패권 경쟁 본격화,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하는가


중국은 매년 1월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이 전국 기관에 하달하는 ‘1호 문건’을 발표한다. 지난 2014년 발표된 문건에는 처음으로 ‘식량안전보장 시스템 확보(完善国家粮食安全保障体系)’라는 표현을 써가며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문건에는 “새로운 정세에서 중국은 식량안보 전략을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 자기 밥그릇은 자기 손으로 받들고 있어야 한다는 것은 치국(治國)의 기본 개념이다”이라고 적혀 있다. 

이러한 정책기조의 일환으로 중국은 세계 3위 종자기업인 스위스의 신젠타社의 인수를 발표했다. 이는 미래 인구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부족을 대처하는 조치이자, 그간 미국을 중심으로 전개되던 세계 식량산업의 새로운 경쟁 구도 형성을 의미한다, 즉, 식량산업을 대하는 주요 강대국들의 입장은 이처럼 확고해지고 있다.  

   
▲ 출처=뉴시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떨까? 영국 경제정보 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2015년 세계식량안보지수(GFSI)’에 따르면 한국은 100점 만점에 74.8점으로 조사대상인 109개 국가 중 26위로 기록됐다. 2014년과 비교해 점수는 1.6점 올랐지만 순위는 25위에서 한 단계 내려앉았다.

여기서 눈여겨볼 것은 식량안보지수가 처음으로 발표된 2012년 21위(77.8점)에서 2013년 24위(71.1점)로 우리나라의 순위가 줄곧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식량과 곡물 자급률에서도 위기감을 감지할 수 있다.

2014년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식량 및 곡물 자급률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49.8%, 곡물자급률은 24.0%로 나타났다. 특히 쌀을 제외한 주요 곡물의 경우 약 90%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곡물자급률이 95~240%에 이르는 미국‧독일‧호주 등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자급률이 유독 떨어진다. 식량자급률 순위도 OECD 34개 회원국 중 32위로 최하위에 속한다.

현재 전 세계 곡물 유통의 85%는 얼스미들랜드(ADM)‧카길(Caggil)‧루이 드레퓌스(Louis Dreyfus)‧벙기(Bunge)등 소위 ‘곡물메이저’ 기업들이 담당하고 있다, 이 중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곡물은 ADM과 카길 두 업체로 국한돼있다. 만약의 경우, 해당 기업들이 곡물 가격을 올리고 수출에 제한을 건다면 우리나라의 식품 가격은 천정부지로 뛸 것이고 그로 인한 ‘식량 대란’이 일어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 출처=픽사베이

이러한 위기론이 대두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정부의 식량안보 정책은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는 지난 2011년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위한 장기 계획’을 발표하며 2015년까지 곡물자급률을 30%로 높이겠다고 했다. 그러나 목표에는 끝내 도달하지 못한 채 2013년 박근혜 정부로 바뀌고서 2017년까지 자급률을 30%로 높이겠다며 같은 목표를 2년을 늦췄다. 그러다가 지난해 3원 곡물 자급률 향상 대책을 다시 발표하면서 2015년 말까지 자급률을 30%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토록 일관성 없는 정부의 식량안보 정책이 진행되는 동안 개선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현 상황의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의 일관성 있는 식량안보 정책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이야기한다. 가공식품의 수출과 시장 개척에만 지나치게 편중돼있는 현재의 정책기조도 조정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거론되고 있다.

‘먹는 문제’는 곧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사안이다. 정부의 무책임한 대처는 이후에 끔찍한 재앙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몇 년 동안 주요 곡물의 국제거래 가격은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금부터 대처해야한다

박정훈 기자  pjh5701@econovill.com
  



113/191, 총 게시물 : 3809
식량안보 '비상', 우리나라의 현주소는? - 이코노믹리뷰 관리자 2016-02-29 46 7071
1568 중국 식량안보 '감자'로 강화, 2020년 소비 비중 30%로 확대 - 아주경제 관리자 2016-02-29 46 6382
1567 일본서 요리별 쌀 전용품종 인기 - 농민신문 관리자 2016-02-26 46 7788
1566 중국의 농업굴기(堀起) - 농민신문 관리자 2016-02-26 46 6600
1565 식품・외식산업 비례대표 국회의원 진출시키자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6-02-26 46 6439
1564 식품안전, 법 만능주의를 경계한다 - 식품저널 관리자 2016-02-24 46 7570
1563 4·13 총선, 업계 대변할 비례대표 세운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6-02-24 46 6147
1562 곡물 소비량 절반으로 감소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6-02-23 46 6184
1561 쌀 산업의 불편한 진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6-02-23 46 6089
1560 30년 전 밥 한그릇 요즘 밥 한그릇 - 대한급식신문 관리자 2016-02-23 46 6762
1559 불량식품 근절정책 3년, 성과와 과제는 - 식품저널 관리자 2016-02-19 46 8091
1558 GM은 원래 자연의 기술이다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6-02-17 46 6720
1557 농업계 비례대표 의원 꼭 나와야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6-02-17 46 6181
1556 복지국가의 조건 - CNB저널 관리자 2016-02-15 46 6365
1555 식품관련학회의 단합된 힘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6-02-15 46 6231
1554 4·13 총선, 업계 대변할 비례대표 세운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6-02-15 46 6192
1553 정크푸드와 우리의 식단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6-02-15 46 6487
1552 HACCP 작업장, 아직 자가품질검사 면제단계는 아니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6-02-15 46 6769
1551 미국 주도 세계최대 ‘공룡 FTA’…한국, 참여쪽으로 - 농민신문 관리자 2016-02-15 47 6828
1550 농가 소득보장망 더 확실히 - 농민신문 관리자 2016-02-15 47 8983
첫 페이지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