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P…올바른 인식개선·국제인증과 동등성 확보돼야 전현희 의원 대한민국GAP연합회 안전먹거리…정책토론회 GAP 농산물 소비확대 필요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새로운 안전먹거리 공급시스템으로 농산물우수관리(GAP) 제도가 연착륙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장이 마련돼 주목을 받았다. 전현희 의원(더불어민주, 강남을)과 대한민국GAP연합회는 지난 1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GAP제도를 중심으로 ‘새로운 안전먹거리 공급시스템을 찾아’라는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 참석자들은 한목소리로 GAP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GAP 농산물 확대를 위해선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과 함께 국제 인증기준과의 동등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정덕화 대한민국GAP연합회장은 주제발제를 통해 “GAP는 정부의 지원 없이 농업인 스스로 안전관리된 농산물을 생산해 공급하는 제도로서 소비자들이 먼저 GAP 농산물을 찾아 안전하게 관리된 GAP 농산물의 소비확대를 선도할 필요가 있다”며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제도로서의 정착을 당부했다. 이에 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도 “GAP 농산물 소비 확대를 위해선 올바른 인식개선을 위한 소통강화가 필요하다”며 “가공식품에선 HACCP(안전관리인증기준)이, 농산물에선 GAP가 안전관리시스템이라는 인식전환이 이뤄지도록 많은 커뮤니케이션 방안과 기회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류경열 농촌진흥청 유해생물팀 과장은 “GAP 농산물 생산·유통과정에 생산된 다양한 빅데이터를 공유해 대형 소비처와 유통업자가 손쉽게 관련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GAP 제도 정비를 통한 국제기준과의 동등성 확보를 통해 국내산 농산물의 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윤덕훈 한경대 교수는 “국제적으로 FTA(자유무역협정) 등에 따른 시장개방이 가속화되면서 자국의 시장보호를 위한 비관세 장벽의 일환으로 국가별로 인증기준을 제정해 활용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인증 기준과의 동등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윤 교수는 “우리나라도 GAP제도의 도입 목적에 따른 제도의 재정립이 필요하며, GAP 기준 개선과 함께 국제인증기준과의 동등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수입 농산물에 대한 내수시장 보호와 소비자에게 안전 농산물을 공급, 국내산 농산물의 국제경쟁력 향상 등을 도모해야 한다는 게 윤 교수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조윤미 소비자권익포럼 공동대표도 “국제적인 변화에 비해 시작은 늦었지만 속도를 내어 우리 농산물의 안전수준을 국제수준에 맞게 높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피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