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기능성 식품’ 탄생 준비하는 정부·기업에 당부 - 중앙일보
[ 2019-05-31 12:52:54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4285        
링크 #1  
https://news.joins.com/article/23465285#none , Hit: 4306

[건강한 가족] ‘기능성 식품’ 탄생 준비하는 정부·기업에 당부

기고-조홍연 미래융합헬스산업연구소장

조홍연 미래융합헬스산업연구소장

조홍연 미래융합헬스산업연구소장

 지난 3월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일반 식품에 기능성 표시를 허용하는 것에 합의했다. 건강기능식품과는 다른 영역의 기능성 표시식품의 탄생을 앞두고 관련 산·학·연·관·민이 거는 기대가 크다.
 
농식품부와 식약처는 민관합동 TF를 구성해 6개월간의 논의를 거쳐 세부적인 표시 기준을 정한다고 한다. 일반 식품의 기능성 표시제도가 바르게 머릿돌을 놓아야 하는 중대한 시점에서 식품 연구에 오랫동안 몸담은 사람으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 식품의 기능성 표시 기준과 기능성을 과학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설정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산업 육성과 기능성 표시식품의 관리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일 것이다. 즉 어떠한 과학적 근거를 갖고 어느 수준까지 표시를 허용해 건강기능식품과 차별화할 것인지, 또한 어떻게 소비자가 쉽게 이해하고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가 주요 명제다. 두 명제의 공통분모를 찾는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지만, 큰 틀과 원칙에 충실하다면 오히려 쉽게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먼저 오랫동안 섭취해 온 식품으로 안전에 문제가 없고 역학 연구나 외국의 사례,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의 건강영향표시(Health claim) 원칙 등에 비춰 기능성이 인정되는 식품군의 경우 폭넓게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능성 표시도 영양 성분 기능, 생리활성 기능 이외에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기능성 표시식품은 식품의 본래 기능인 영양을 공급해 주는 기능과 기호에 맞도록 맛을 가미하고 여기에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까지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식품업계는 더 까다롭고 철저하게 영양과 기호, 기능성을 검증해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기능성을 표시한 일반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선 기대하기 어려운 ‘맛있게 즐기면서 건강을 지킨다’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구매력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능성 표시식품은 전후방 산업, 특히 1차 생명산업의 육성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건강기능식품의 국산 원료 사용 비중은 3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원료와 소재의 국산화 비율을 높이는 일이야말로 생명산업인 농·임·수·축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기능성 있는 좋은 소재들이 제2, 제3의 홍삼으로 창출될 때 소기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이제 국내 식품업계도 글로벌 블록버스터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중장기적으로 투자해야 할 때다.
 
수년간의 산고 끝에 탄생하는 기능성 표시식품이 명실공히 100세 시대 국민 건강에 기여하고 글로벌 제품을 창출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조기에 정착·도약하기를 소망한다.
 



66/191, 총 게시물 : 3809
2509 기능 다양한 식이섬유 가공식품 개발 절실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9-06-07 46 4479
2508 21세기 식량위기 대처법 - 농민신문 관리자 2019-06-07 46 4473
2507 USDA-EPA-FDA 음식물 쓰레기 감축 전략 공개 - 세계 식품과 농수산 관리자 2019-06-07 738 5093
2506 비만은 질병이다 ‘비만과의 전쟁’ - 식품저널 관리자 2019-06-05 46 4538
2505 위기의 외식산업 변화하는 트렌드 읽고 체질개선 나서야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9-06-05 46 4942
2504 외식비 감소ㆍ가공식품 지출은 증가 - 식품저널 관리자 2019-06-03 46 5887
2503 보리음료 국민 건강 음료로 육성을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9-06-03 46 4658
‘기능성 식품’ 탄생 준비하는 정부·기업에 당부 - 중앙일보 관리자 2019-05-31 46 4286
2501 코리아 패러독스, 소금섭취에 대한 일방적인 호도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9-05-29 853 4665
2500 외식산업 발전은 신소재 발굴이 답이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9-05-29 46 4417
2499 식량자급률 하락세, 이대론 안된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9-05-29 46 4302
2498 식량자급률 하락세 심각, 대책 시급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9-05-29 46 4395
2497 “北 식량지원 ‘남북 윈윈’…농업협력 시발점” - 농민신문 관리자 2019-05-27 46 4426
2496 코덱스, 신식품·라벨링 등 안전 이슈 표준 설정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9-05-27 46 7790
2495 의학계도 주목하는 식이섬유 - 식품저널 관리자 2019-05-27 46 5371
2494 맛·식감 등 혁신 식품으로 세계 시장 진출을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9-05-27 46 4567
2493 콩고기에서 배양육으로 -한겨례 관리자 2019-05-24 46 5666
2492 기아 퇴치 위해 농업분야 ODA 확대 절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9-05-20 46 5798
2491 식량안보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 농민신문 관리자 2019-05-20 46 4414
2490 쌀 소비, 안심할 때가 아니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9-05-20 46 4362
첫 페이지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