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안정적 식량 공급 위해 해외농업 개발 강화해야” - 식품저널
[ 2011-08-26 13:10:39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754        
링크 #1  
http://www.foodnews.co.kr/news/board.php?board=news&command=body&no=23958 , Hit: 5864
“안정적 식량 공급 위해 해외농업 개발 강화해야”


‘국제곡물 동향과 해외농업 개발’ 국제 심포지엄 개최
 

국제곡물 교역을 둘러싼 불안정 요소가 많아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위해 해외농업 개발사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서울대학교 북한ㆍ해외농업연구소는 25일 농경연 대회의실에서 ‘국제곡물 동향과 해외농업 개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심포지엄에서 농경연 김용택 선임연구위원은 “2007/2008년도에 곡물파동을 야기했던 국제곡물시장의 불안정 요소가 근본적으로 해소되지 않고 있어 우리나라와 같은 곡물 대량 수입국은 식량안보를 주요 정책과제로 설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식량안보 대책으로 다양한 방안들이 있지만, 특히 해외농업 개발은 식량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를 위해 해외농업 개발사업의 유형별 장단점을 고려해 민ㆍ관이 협력하는 통합적 접근과 진출지역의 가치사슬분석을 통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 미네소타대학의 브라이언 부어 교수는 “세계 곡물시장은 4개 주요 생산국이 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의 68%를 차지하는 등 일부 국가에 생산량이 집중돼 있고, 수출국도 일부국가에 집중돼 외부 위험에 쉽게 노출돼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구온난화에 따른 잦은 기후변화, 중국과 같은 신흥국의 육류 소비량 증가에 따른 (사료)곡물수요량 증가, 선진국의 바이오연료 사용 권장에 따른 곡물의 대체수요 증가, 주요 수출국의 곡물수출 규제 등으로 곡물 수입국들은 안정적으로 곡물을 확보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곡물생산성이 떨어지는 기아 위험국의 곡물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해외직접투자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 미야기 대학 미쓰이시 세이지 교수는 일본 젠노의 해외농업 개발사업 사례를 통해 “(사료)곡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원료곡물의 집하 및 운송에 따른 위험을 분산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젠노가 원료곡물 생산지에 집하 및 운송을 담당하는 대형곡물회사(ZGC)를 설립해 장기적인 차원에서 안정적인 곡물공급을 이루고 있는 점을 빌어 향후 한국의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추진 시 장기적인 목표와 단기적인 전략을 구분해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농촌개발부 샤오시안 차관은 “캄보디아는 1993년부터 2009년까지 전체 126개 업체들의 농작에 대한 토지 협약에 승인하는 등 외국기업들의 농업개발 투자에 호의적이며, 캄보디아 경제의 중심인 농업분야에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생산, 운송, 저장, 가공, 제품의 마케팅 부분이 근접 국가들에 비해 기술적으로 낙후돼 있어 해외농업개발 투자의 적극적인 유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현지 소규모 농장운영자들과 공동으로 농업에 종사할 수 있는 투자자를 적극 환영한다는 의견도 개진했다.
 

이지현 기자 ljh0705@foodnews.co.kr



178/191, 총 게시물 : 3809
269 [자원이 미래다] 4대 곡물 메이저와 ‘유통 大戰’… 식량주권 지키기 사활- 세계일보 관리자 2011-09-07 46 10351
268 농진청, 기후변화·식량안보강화 방안 마련 - MBN경제 관리자 2011-09-07 46 8080
267 EU, '곤충 먹기 캠페인' 실시 - 데일리경제 관리자 2011-09-06 46 8558
266 '귀한 몸'된 국내산 농산물···식량주권 흔들 - 머니투데이 관리자 2011-09-05 46 8400
265 [식품 칼럼] 우리나라의 식량 자원 - 식품저널 관리자 2011-09-02 46 7944
264 국제 곡물가도 널뛰기… 소맥 2개월새 27.5% ↑ - 문화일보 관리자 2011-09-02 46 8204
263 中 가축사료 때문에… 국제 곡물값 폭등 - 조선일보 관리자 2011-09-02 46 8142
262 국제 곡물값 다시 가파른 오름세 - 경향신문 관리자 2011-09-02 46 9278
261 “2011년 하반기, 전 세계적인 식량 위기 온다” - 뉴시스 관리자 2011-08-31 46 8102
260 [사설]시급한 식량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8-31 46 7687
259 글로벌 식량위기 대응…말로는 백번 강조하지만…농민신문 관리자 2011-08-31 46 7892
258 식량 위기에서는 '절망버스'가 뜬다 - 노컷뉴스 관리자 2011-08-30 46 7970
257 널뛰기 국제 곡물가 … “공공비축제, 취약계층 식품지원 시행해야 - 헤럴드경제 관리자 2011-08-29 46 9054
256 '식량전쟁' 쓰나미, 소리없이 다가온다 - 노컷뉴스 관리자 2011-08-29 46 8282
“안정적 식량 공급 위해 해외농업 개발 강화해야” - 식품저널 관리자 2011-08-26 46 7755
254 글로벌 식량위기 현실적·보수적 대처 절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8-26 46 8113
253 식량 수출국들이 식량수출 금지한다면?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8-26 46 8184
252 “식량자급도 27%인 한국, 해외농업개발사업에 적극나서라” - 헤럴드경제 관리자 2011-08-25 46 8856
251 <시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위험관리시스템 정비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1-08-25 46 8759
250 [사설]농산물 3불(不)시대 걱정만 할 것인가 - 농민신문 관리자 2011-08-25 46 7811
첫 페이지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