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 높이는 신품종·재배법 개발 공공급식 활용해 소비확대 도와야
우리밀 자급률이 2017년 기준 1.7%(사료용 제외)로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어 걱정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밀 재배면적은 3736㏊로, 2018년 6600㏊에 견줘 43.4%나 줄었다. 1970년 9만7000㏊에 비하면 근 50년 만에 3.8% 수준으로 쪼그라든 것이다. 자급률도 덩달아 떨어져 2018년 1.2% 전후로 예상되고, 2019년엔 0.5%를 기록할 전망이다.
밀은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이 32.4㎏(2017년 기준)에 달해 쌀에 이은 제2의 주식이다. 2018년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61㎏인 점을 감안하면 밀이 우리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간다.
지난해 12월 농림축산식품부가 2019년부터 35년 만에 밀 수매비축제를 시행한다고 발표하고, 국산 밀 육성대책도 내놨다. 뒤늦긴 했지만 다행이다. 하지만 우려하는 바가 없지 않다. 농식품부는 밀 자급률 목표치를 2011년엔 2015년까지 10%, 2016년엔 2020년까지 5.1%를 달성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번번이 지키지 못했다. 지난해에는 2022년까지 9.9%의 자급률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도 헛구호에 그칠까봐 우려스럽지만, 정부 의지를 믿고 싶다.
우리밀을 살리기 위해선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 우선 우리밀 가격이 외국산에 비해 3~4배 높고, 재배지역의 토양·기후 여건에 따라 단백질 함량 등 품질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수입 밀 품종에 비해 맛은 물론 가공에 적합한 점성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다. 이에 생산비를 절감하면서도 맛·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재배법과 신품종 개발이 시급하다. 우리밀의 재고소진 및 소비부진도 해결해야 한다. 정부가 2017년산 재고 밀 6061t을 수매했음에도 시중에는 여전히 2017~2018년산 1만4000t가량이 재고로 남아 있다. 우리밀 소비가 안착될 때까지만이라도 학교와 군부대 등 공공급식에서 우리밀 사용 비중을 적극 늘려야 한다. 정부가 올해부터 밀쌀을 군부대에 공급하는데 연간 물량이 200t에 불과하다.
일본은 ‘주요 식량의 수급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을 제정, 국가 차원에서 ‘국산 밀 진흥비’ ‘밭작물 직불금’ 등을 통해 밀을 주식 개념으로 지원한다고 한다. 이 덕에 일본은 밀 자급률이 2015년 기준 15%에 달한다. 우리도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국산 밀산업 육성법 제정안’을 하루속히 통과시켜 밀을 제2의 주식으로 보호·육성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