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식품 정체 기능성 표기·수출로 활로 찾아야 - 식품음료신문
[ 2020-01-02 16:47:58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3852        
링크 #1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138 , Hit: 4029

[희망 2020 신년사]

식품 정체 기능성 표기·수출로 활로 찾아야

■ 신동화 한국식품산업진흥포럼 회장

 

국내외 경제여건이 별로 좋지는 않아 어려움을 겪은 식품업계가 2019년 한해를 훌훌 털어 보내고 새롭고 활기찬 새해를 맞는 다짐이 필요합니다. 제조업은 생명체와 같아서 한시도 쉬지 않고 변하고 있으며 변한 결과에 따라 오늘의 현상이 있습니다. 어려움이 밀려왔어도 업계들이 슬기롭게 대처하여 지금 존재하고 나름대로 발전해 왔다는 것에 경하를 드리고 싶습니다.

우리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의 성장은 이제 한계에 이르렀고 이에 따라 발전 속도도 지체될 수밖에 없는 처지에 있습니다. 출산율은 한 부부가 1명도 낳지않는 심각한 처지에 이르렀고 앞으로 더 개선 될 기미도 희미합니다. 이와 함께 평균수명은 연장되어 계속 노령화는 진행되면서 소비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식품업계가 안고 있는 가장 큰 애로점이고 쉽게 해결방법을 찾는 것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쉼으로 대처할 수는 없습니다. 어려운 여건에서도 새로운 영역을 찾아 활로를 찾아가야 할 것입니다. 이제 거의 합의에 이른 일반식품의 기능성 표시는 업계가 새로운 활로를 찾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대상이 되는 식품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눈길을 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원료뿐만 아니라 가공식품에도 요건만 갖추면 건강기능성을 표기할 수 있어 업계의 노력 여하에 따라 충분히 새로운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치밀하고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할 것이며 법적 사항의 검토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또한 수출로 확보에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K-pop으로 한국이 전 세계에 알려지면서 우리 식품의 인기가 상승하고 있으며 이 물결을 타고 더 다양한 식품을 필요로 하는 나라에 수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국 침체되고 있는 내수시장을 수출로 활로를 찾아야 합니다.

식품산업의 발전은 업계 스스로의 노력이 제일우선이나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 또한 필수이며 시장성이 있는 신제품개발이나 생리기능을 새롭게 밝히는 것은 함께 노력 할 분야입니다. 식품산업은 인류와 함께해 왔고 또 영원히 같이 가야 할 생명산업입니다. 새해에 이 분야 모든 분들에게 축복이 내리고 식품산업이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기원합니다.





56/191, 총 게시물 : 3809
2709 한국식품산업진흥포럼, 신동화 회장 재추대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1-10 46 3732
2708 ‘수산식품산업 육성법’ 국회 본회의 통과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1-10 46 3601
2707 한국농업의 도약을 꿈꾸며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1-09 46 3655
2706 한식 세계인의 건강식 가능성 과학적 입증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1-08 46 6801
2705 두부, 장류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으로 인한 식품산업 성장 둔화 우려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1-08 46 3705
2704 미세먼지와 미생물 오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1-08 46 3935
2703 대체육, 식물성 가짜 고기 "콩고기"가 뜨고 있다 - 한국콩연구회 소식 관리자 2020-01-07 1000 4112
2702 카길, 식물성 단백질 원료 ‘레디퓨어’ 아시아시장 진출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1-07 46 3939
2701 유럽에도 ‘유전자교정기술’ 상륙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1-03 46 3956
식품 정체 기능성 표기·수출로 활로 찾아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1-02 46 3853
2699 자급률 50% 목표 식량 낭비 줄이기 동참을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1-02 46 3634
2698 "식량의 무기화" 대비하는 포스코인터, 해외곡물터미널 확보 - 노컷뉴스 관리자 2020-01-02 46 5045
2697 2020년부터 미국 GMO 식품 표기방안 변경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관리자 2019-12-27 46 4722
2696 식약처, ‘식품안전’ 전문직 공무원 제도 시행 - 식품저널 관리자 2019-12-26 46 3818
2695 먹는 것이 우리 유전인자에도 관계한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9-12-20 46 5169
2694 한·아세안 발효식품 포럼을 보며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9-12-20 46 3955
2693 농진청-서울대, 한식 과체중ㆍ비만인 건강 개선 입증 - 식품저널 관리자 2019-12-19 46 4022
2692 쌀 소비확대 정책, 혁신적인 변화 필요하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9-12-17 46 3631
2691 농산물 가공식품화 그리고 살아남기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9-12-17 46 3651
2690 언제까지 정부 재고미 처리반?…가공용쌀도 식품원료로 인정해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9-12-17 46 4013
첫 페이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