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코로나19 사태 , ‘식량안보’ 경각심 높이는 계기로 - 농민신문
[ 2020-04-09 14:39:15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3526        
링크 #1  
https://www.nongmin.com/opinion/OPP/STL/321308/view , Hit: 4020

[사설] 코로나19 사태 , ‘식량안보’ 경각심 높이는 계기로

 베트남 등 곡물 수출중단 잇따라 식량자급률 법제화 등 대책 필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제적인 식량수급에 빨간불이 켜졌다. 연간 50만t의 쌀을 수출하는 캄보디아가 5일부터 쌀 수출을 금지했다. 세계 3위 쌀 수출국인 베트남이 3월24일부터 쌀 수출을 중단했고, 러시아도 3월20일부터 열흘 동안 모든 종류의 곡물 수출을 임시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카자흐스탄은 밀가루·메밀·채소 등의 수출을 중단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세계적인 경제불황에 이어 식량수급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식량문제는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 없다. 쌀·보리·콩·밀·옥수수 등의 국내 식량자급률(사료용 제외)은 1970년 86.2%였지만 2018년 현재는 46.7%로 추락했다. 사료용까지 포함한 곡물자급률은 더욱 심각해 21.7%에 그친다. 게다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20 농업전망’에서 2029년 국내 식량자급률이 42.6%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쌀은 관세화 유예에 이어 513%의 고율관세 덕에 자급률이 100% 내외를 유지하지만, 이도 안심할 수 없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태풍·가뭄 등이 더욱 심해지고, 쌀 생산 기반인 논 면적도 갈수록 감소해 문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논 면적은 83만㏊로 8년 전인 2010년 98만4000㏊보다 15.7%(15만4000㏊)나 감소했다. 쌀이 현재는 부족함이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상이변이나 경작지 부족 등의 문제로 위태로울 수 있다는 이야기다.

어떤 이는 쌀이 부족하면 값싼 외국산을 수입해 먹으면 된다고 말하지만 이는 근시안적인 생각이다. 식량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여서 비상시엔 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을 수 있어서다. 심지어는 각국의 공급통제로 수입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식량안보’는 이같은 상황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일본에선 3월25일 고이케 유리코 도쿄 도지사가 ‘(코로나19) 감염 폭발’의 위험이 중대 국면에 이르렀다는 발표를 한 뒤 도쿄를 비롯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쌀 사재기’가 벌어졌다고 한다. 비상시 식량안보는 결코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쌀은 우리의 주식이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식량안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식량자급률 법제화 등 구체적인 식량자급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52/191, 총 게시물 : 3809
2789 비농민이 전체 168만㏊ 중 44% 보유…말뿐인 경자유전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8 47 3813
2788 ‘농업 홀대’ 필리핀, 세계 식량난 때마다 ‘보릿고개 공포’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8 47 3837
2787 세계 단절로 ‘식량안보’ 빨간불 …농업 기반 견고히 해야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8 47 3328
2786 한국서 첫 ‘네이처 포럼’ 10월 개최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4-24 47 3439
2785 언택트경제 가속…외국 노동자 의존 한국 농업생산은 비상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2 47 3452
2784 쌀 자급의 가치 재발견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2 47 4159
2783 북한 등 49개국, 코로나19로 더 큰 식량위기 맞을 것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2 46 3792
2782 英 농업 구직자 폭증…일손가뭄 단비 될까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2 46 3721
2781 코로나19와 농업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2 46 3531
2780 ‘밥맛 없는’ 정부양곡…등급별 가격 차별화로 해법 찾아야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2 46 3603
2779 논 이모작 확산을 바라며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2 46 3617
2778 코로나19가 가져올 식량위기에 즉각 대응하자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22 46 3633
2777 코로나發 전세계 곡물 이동제한…식량 자급률 제고해야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20-04-22 46 3500
2776 코로나19와 식량안보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4-21 46 3526
2775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10년史 편찬 - 푸드아이콘 관리자 2020-04-17 46 3749
2774 한국 ‘곡물자급 최하위’…바람 앞의 ‘식량안보’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16 47 3468
2773 육식 선호 문화가 가져온 결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4-16 47 4433
2772 40년간 강남 은마아파트값 84배 뛸 때 쌀은 고작 3배 올랐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09 47 3797
코로나19 사태 , ‘식량안보’ 경각심 높이는 계기로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09 47 3527
2770 자유교역이 식량안보 보장? 감염병 확산에 헛구호 판명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4-09 47 3569
첫 페이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