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버려지는 ‘못난이 농산물’ 가공식품 개발 민·관 합심 - 식품음료신문
[ 2020-06-19 16:30:03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3751        
링크 #1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7296 , Hit: 4015

버려지는 "못난이 농산물" 가공식품 개발 민·관 합심

농식품부-aT-케이베리-프랜차이즈 등 11개사 업무 협약
딸기 등 4 개 품목 상품 개발…aT 수출 지원
CJ푸드빌 등 메뉴 개발 해외소비 확대 동참

CJ푸드빌, 커피베이, 디딤 등 대표 외식업체들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농가들의 도우미를 자처하고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농산물 비규격품(일명 못난이)을 원료로 사용하기로 합심한 것.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농산물 비규격품을 원료로 한 가공식품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4개 품목 생산자 대표 수출회사(코파(KOPA, 파프리카), 케이베리(K-berry, 딸기), 케이그레이프(K-grape, 포도), 케이머쉬(K-mush, 버섯))·가공 및 해외 진출 프랜차이즈 업체 등 11개사가 참여하는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농산물 비규격품은 품목 또는 품종별 특성에 따라 고르기, 형태, 색깔, 신선도, 건조도, 결점, 숙도 및 선별상태 등 품질 구분 기준을 미달하는 제품으로, 그동안 수출 농가들은 비규격품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없어 자체 폐기하거나 헐값에 판매해왔다.

지난 15일 농식품부는 해외 수출 프랜차이즈 등 업체와 농가간 신선농산물 비규격품 수출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제공=농식품부)
지난 15일 농식품부는 해외 수출 프랜차이즈 등 업체와 농가간 신선농산물 비규격품 수출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제공=농식품부)

이번 협약으로 농가는 못난이 농산물을 업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아라프룻은 수출상품 개발·기획 및 수발주 관리를, 모건푸드는 가공을 통한 상품 제작을, 프레시스는 해외바이어 발굴 및 수출대행 등을 담당한다.

특히 CJ푸드빌, 커피베이, 디딤 등 해외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가공 제품의 안정적 구매, 메뉴 개발 및 해외 소비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정책기획 및 참여조직간 이해관계 조정 등 원활한 사업 운영을 지원하고 aT는 참여사별 업무분장 및 관리, 수출사업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4개 품목의 못난이 농산물 가공 상품개발이 가속화될 전망이며, 상품개발이 이뤄지는 대로 품목별 수출 목표를 설정 후 정책 지원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딸기의 경우 지난 3월 17일부터 가공화 사업이 진행돼 현재까지 못난이 딸기 97톤을 제품화했으며, 올해 500톤 규모를 제품화할 예정이다.

김종구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농식품 수출산업에서 수출 농가와 기업간 상생협력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농가는 안정적인 농산물 공급을 통한 소득 제고, 기업은 해외에서의 매출 확대 등이 농업과 기업의 상호이익 증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코로나19로 인한 현지 이동제한,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농산물 수출에 어려움이 많다”면서 “농산물의 국내 수급안정과 농가 소득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못난이’ 농산물 가공 지원과 같이 작지만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재현 기자




49/191, 총 게시물 : 3809
2849 “김치 영양표시 의무화는 소비자 혼란만 초래”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7-15 46 3156
2848 포스트 코로나시대 한국농업, 위기를 기회로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20-07-14 46 3139
2847 당정, 유통기한제도 폐지법 추진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7-13 46 3018
2846 “식량자급률 60%↑ 항바이러스 전통 식품 투자 확대”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7-13 46 3413
2845 전통발효식품의 미생물 기능 규명, 과학자들의 숙제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7-10 46 3433
2844 “유통기한→소비기한, 소비자 중심 표시제도로 나아가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7-08 46 3684
2843 식품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표시제 도입 급물살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7-07 47 3460
2842 시의적절한 ‘식품 소비기한’ 표시 추진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7-06 47 3217
2841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에도 산분해간장을 먹어야 하나?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6-29 47 3459
2840 노조는 사회적 책임 다하고 있나 - 한국경제 관리자 2020-06-29 47 3468
2839 코로나 이후 ‘식량 위기’ 공감대 확산…관행 탈피·새로운 대응 준비해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6-29 47 3478
2838 대공황보다 대봉쇄가 심각…최악의 식량 위기설 대두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6-29 47 3401
2837 35년産 유통기한 역사 속으로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6-26 48 4239
2836 음식이 갖는 의미, 작은 행복을 주는 것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6-25 48 3871
2835 농업이 바뀌고 있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6-25 48 3363
2834 노변청담, ‘코로나19 이후 농식품 정책 방향과 대응 방안’ 개최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6-25 47 4092
2833 전 세계서 한국만 소비기한 없다…소비기한 도입 표시법 개정 추진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6-25 48 3483
2832 식품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표시 도입 의견 수렴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6-25 47 3379
2831 없으면 안 되는 식량 늘 비축하고 식량난에 대비해야 - 퓨쳐에코 관리자 2020-06-24 48 3336
2830 통곡물 보급 맛있는 가공식품 개발을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6-23 48 3610
첫 페이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