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음식명, 외국어 표기 지침 마련 - 식품저널
[ 2020-07-16 15:25:09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4378        
링크 #1  
http://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591 , Hit: 5176
음식명, 외국어 표기 지침 마련
문체부-국어원, 공공 용어 외국어 번역ㆍ표기 지침 제정
  
▲ 음식명을 영어로 표기할 때 특별히 강조되는 요소가 있으면 그 표현을 강조해 번역한다. 쫄면의 경우 Spicy Chewy Noodles, 백설기는 Snow White Rice Cake로 표기하면 된다.

음식명을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표기할 때 지침이 마련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은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문체부훈령 제279호, ’15.12.29 제정)의 번역 대상 언어와 분야를 확대해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을 새로 제정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존에는 공공 용어 번역 및 표기에 대한 영어 지침만 있었지만, 우리나라에 방문하는 외국인의 비율을 반영해 그 대상을 중국어와 일본어까지 확대해 지침을 마련했다.

또 지명, 도로명, 정거장명 등 5개 분야로 구성돼 있던 훈령 적용 범위에 음식명 분야를 추가해 그동안 번역이 어려워 곤란을 겪었던 음식점 업주나 식품 관련 해외 진출 기업, 외국인 관광객까지 혼선과 불편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음식명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김치 Kimchi, 불고기 Bulgogi, 비빔밥 Bibimbap 등 영어권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음식명의 관용적인 표기는 그대로 인정한다.

이와 함께 음식명의 영어 표기 시 재료명, 맛, 조리법, 형태 중 특징적인 요소를 드러내어 간결하게 번역하면 된다. 예를 들어 오징어볶음은 Stir-fried Squid, 생선구이는 Grilled Fish로 표기한다.

특별히 강조되는 요소가 있는 경우는 그 표현을 강조해 번역할 수 있다. 쫄면의 경우 Spicy Chewy Noodles, 백설기는 Snow White Rice Cake로 표기하면 된다.  

음식명을 중국어로 표기할 때에도 재료명, 맛, 조리법, 형태 중 특징적인 요소를 드러내어 간결하게 번역한다.

음식명이 한자어인 경우 한자역으로 번역하되, 한자역이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에는 중국에서 통용되는 표현으로 번역한다.

순우리말 음식명은 대응어가 있으면 중국에서 통용되는 표현으로 번역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의미, 기원 등을 살려 번역한다.

중국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음식명의 관용적인 표기는 그대로 인정하고, 재료가 두 가지 이상 쓰인 경우에는 국문 명칭의 재료명 열거 순서에 따라 번역한다.

한국의 고유문화와 관련이 있어 문화의 전통성을 드러내야 할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앞에 ‘韩国-’ 혹은 ‘韩式-’를 붙여서 번역할 수 있다.

음식명을 일본어로 표기할 때에는 재료명, 맛, 조리법, 형태 중 특징적인 요소를 드러내어 간결하게 번역하고, 일본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음식명의 관용적인 표기는 그대로 인정한다.

한국의 고유문화와 관련이 있거나 재료명을 번역했을 때 번역어가 음식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음역하고 음식의 맛, 모양, 조리법 등이 일본의 음식과 거의 비슷한 경우에는 일본어에 대응되는 용어로 번역한다. 한자어인 음식명을 일본식 한자로 표기했을 때 의미가 통하면 일본식 한자로 표기한다.

국어원은 이번에 제정된 훈령을 적용해 공공 용어 번역안의 영ㆍ중ㆍ일 감수를 지원하고, 한국어와 한국 문화 관련 용어를 외국인에게 바르게 알리기 위해 표준 번역안을 마련해 공공언어 통합 지원 시스템(https://publang.korean.go.kr)에서 제공한다.

 

 
 
  
 
  

이지현 기자




49/191, 총 게시물 : 3809
2849 “김치 영양표시 의무화는 소비자 혼란만 초래”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7-15 46 3155
2848 포스트 코로나시대 한국농업, 위기를 기회로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20-07-14 46 3135
2847 당정, 유통기한제도 폐지법 추진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7-13 46 3016
2846 “식량자급률 60%↑ 항바이러스 전통 식품 투자 확대”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7-13 46 3410
2845 전통발효식품의 미생물 기능 규명, 과학자들의 숙제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7-10 46 3430
2844 “유통기한→소비기한, 소비자 중심 표시제도로 나아가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7-08 46 3678
2843 식품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표시제 도입 급물살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7-07 47 3457
2842 시의적절한 ‘식품 소비기한’ 표시 추진 - 농민신문 관리자 2020-07-06 47 3212
2841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에도 산분해간장을 먹어야 하나?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6-29 47 3456
2840 노조는 사회적 책임 다하고 있나 - 한국경제 관리자 2020-06-29 47 3466
2839 코로나 이후 ‘식량 위기’ 공감대 확산…관행 탈피·새로운 대응 준비해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6-29 47 3472
2838 대공황보다 대봉쇄가 심각…최악의 식량 위기설 대두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6-29 47 3396
2837 35년産 유통기한 역사 속으로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6-26 48 4236
2836 음식이 갖는 의미, 작은 행복을 주는 것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6-25 48 3868
2835 농업이 바뀌고 있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6-25 48 3360
2834 노변청담, ‘코로나19 이후 농식품 정책 방향과 대응 방안’ 개최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0-06-25 47 4085
2833 전 세계서 한국만 소비기한 없다…소비기한 도입 표시법 개정 추진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6-25 48 3481
2832 식품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표시 도입 의견 수렴 - 식품저널 관리자 2020-06-25 47 3373
2831 없으면 안 되는 식량 늘 비축하고 식량난에 대비해야 - 퓨쳐에코 관리자 2020-06-24 48 3330
2830 통곡물 보급 맛있는 가공식품 개발을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0-06-23 48 3602
첫 페이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