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식문화·인종은 달라도 쌀 소비 "꾸준" - 농수축산신문
[ 2020-10-08 10:29:15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3493        
링크 #1  
http://www.af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129 , Hit: 8890

[쌀사랑 미소365] 세계의 쌀 산업

식문화·인종은 달라도 쌀 소비 "꾸준"

세계에서 쌀을 가장 많이 생산하고 소비하는 나라는 어디일까? 다른 나라도 우리나라처럼 쌀 소비 감소세를 겪고 있을까? 쌀의 자국 내 생산과 소비를 넘어 수출입도 자유롭게 이뤄지고 있는 지구촌 시대, 인종과 식문화가 다른 타국에서 쌀 생산과 소비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알아봤다.

# 한국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쌀을 주식으로 섭취해왔으나 식문화가 서구화되고 다양한 대체식품이 개발되면서 쌀 소비는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70136.4kg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201367.2kg르로 반토막이 났으며 지난해 59.2kg까지 줄었다.

국내 미곡 생산량도 20104295413톤에서 지난해 3744450톤으로 지속적으로 줄었고 재배면적도 같은 기간 892074ha에서 729814ha로 감소했다.

이 가운데 가공용 쌀 소비량은 2017707703톤에서 지난해 744055톤으로 늘어 쌀 소비 감소세 속에서도 쌀가공식품의 수요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쌀가공식품 수출액도 20155500만 달러에서 지난해 1700만 달러를 달성해 국내 쌀가공식품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나타냈다.

 

# 일본

일본도 쌀 소비 감소세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일본 국민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62118.3kg에서 200561.4kg, 201554.6kg으로 감소했다. 미곡 재배면적도 20051388960ha에서 20151313713ha로 줄었다. 이 가운데 일본 국민 1인당 밀 소비량은 같은 기간 31.7kg에서 33kg으로 늘어나 일본 국민의 식습관이 서구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통계청 확인 결과 일본의 쌀 생산량도 201010604000톤에서 2017978만 톤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일본도 쌀을 재료로 한 다양한 쌀가공식품을 개발해 쌀 소비를 늘리기 위한 정책과 사업을 펼치고 있는 실정이다.

 

# 미국

미국은 밀이나 옥수수 등이 주식인 만큼 전체 곡물 생산량에서 쌀이 차지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파악되며 쌀 생산량의 경우 소폭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농림부(USDA)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밀 재배면적은 20174600만 에이커에서 지난해 5100만 에이커로, 같은 기간 옥수수 재배면적도 9000만 에이커에서 9200만 에이커로 늘었다. 이 가운데 쌀 재배면적은 2017250만 에이커에서 지난해 270만 에이커로 다소 늘었지만 옥수수나 밀 재배면적에 비해 매우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농경연은 ‘USDA 장기 농업전망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미국 내 쌀 재배면적 증가세는 지속되지 않고 향후 10년동안 270만 에이커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쌀 생산량의 경우 2015222억 파운드에서 지난해 218억 파운드로 다소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으며 이중 133억 파운드의 쌀이 미국내 내수·기타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유럽

유럽연합(EU) 국가는 밀을 주식으로 해 쌀 생산량이나 소비량의 절대치는 많지 않으나, 쌀에 대한 소비는 점차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기환 경북대 교수의 유럽의 벼 생산 및 연구동향 분석에 따르면 2017년 기준 EU의 쌀 생산량은 290만 톤이며 벼 재배면적은 43ha로 나타났다. EU 내 주요 쌀 생산국은 이탈리아와 스페인, 그리스로 이탈리아가 EU 쌀 생산량의 절반 수준인 51%를 생산한다. 스페인은 29%, 그리스는 8% 정도의 쌀을 생산한다.

EU의 쌀 소비의 경우 빵이나, , 감자에서 탄수화물원이 점차 다양화됨에 따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20054.7kg에서 20165.5kg으로 늘어났다. 특히 남부유럽을 제외한 기타지역에서 인디카 품종의 쌀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원인중의 하나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이민자나 이민 2세대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미국과 함께 유럽 내 일부 국가는 글루텐 프리(Gluten-Free) 시장 규모가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쌀 소비 증가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국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쌀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국가다.

통계청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17년 세계 쌀 생산량은 76965만 톤 가량이었다. 이 중 중국의 쌀 생산량은 21443만 톤으로 나타나 세계 1위 수준을 나타냈다. 중국의 쌀 생산량은 201019721만 톤에서 점차 늘고 있으며 경작면적당 생산량도 2010ha6548kg에서 20176909kg으로 증가했다. 중국의 쌀 재배면적은 2017년 기준 전년 대비 0.5% 감소한 약 3000ha로 파악된다.

또한 중국의 쌀 소비량은 2017년 기준 세계 쌀 소비량 약 6억 톤의 29% 수준인 17468만 톤으로 파악된다. 이는 세계 1위 수준이며, 중국의 쌀 소비량은 2011년 기준 1940톤에서 빠르게 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중국은 최근 빠른 경제성장과 사회 안정화 등으로 인해 쌀을 포함한 곡물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자 곡물자급률 제고, 해외농업 진출 확대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 6개국(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베트남·인도네시아·필리핀, 이하 CLMVIP)은 전형적인 쌀 생산 국가로 소폭이지만 꾸준히 쌀 생산량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농경연에 따르면 CLMVIP 국가의 쌀 재배면적은 20103489ha에서 20183561ha로 늘었다. CLMVIP 국가 중 인도네시아가 가장 넓은 쌀 재배면적 1220ha를 가지고 있으며 다음으론 베트남 755ha, 미얀마 705ha, 필리핀 480ha, 캄보디아 319ha, 라오스 82ha 순이다.

CLMVIP 국가의 쌀 생산량은 20108922만 톤에서 20189722만 톤으로 연평균 1%의 증가율을 보이며 늘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인도네시아의 쌀 생산량이 3710만 톤으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론 베트남 2771만 톤, 미얀마 1310만 톤, 필리핀 1200만 톤, 캄보디아 563만 톤, 라오스 168만 톤 순이었다.

CLMVIP 국가의 2018년 기준 쌀 수출량은 약 1065만 톤으로 전 세계 쌀 수출량의 22.8%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이중 베트남의 쌀 수출량은 650만 톤으로 CLMVIP 국가 중 가장 많은 양의 쌀을 수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농수축산신문 공동기획>




2/191, 총 게시물 : 3809
3789 발효식품, 새로운 영역 살펴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0-17 40 470
3788 세계 기후총회 핵심 안건은 ′식량 안보′ - Business Post 관리자 2024-10-11 40 789
3787 대규모 식량 위기에 국경 무너질 것, 한국의 대응은? - MBC 뉴스데스크 관리자 2024-10-10 40 479
3786 ‘식량이 무기다!’… 식량안보 강화해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0-04 40 434
3785 건강기능식품의 역할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09-02 42 467
3784 콩이 가득한 강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8-30 41 498
3783 쌀 소비촉진과 절미(節米)운동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8-30 41 1822
3782 식품 기술의 기본에 대한 이해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4-08-29 41 451
3781 국감 한달여 앞…기후물가·식량안보 ‘주요 의제’ 예상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8-26 40 435
3780 한국 ‘6대 옥수수 수입국’ 되나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8-22 40 435
3779 8월18일 ‘쌀의 날’…쌀 가공식품, ‘구원투수’로 제역할 하려면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8-22 40 442
3778 日 식량안보 평가지표 추가…정책 유효성 높인다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8-22 40 468
3777 기후플레이션 시대, 한국농업의 대응과제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8-22 40 480
3776 국산 농축수산물의 한계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08-14 40 466
3775 Lay’s Is Releasing 3 New International Chip Flavors - FOOD & WINE 관리자 2024-08-13 40 573
3774 밥맛이 예술이네…입맛 맞춘 쌀로 소비자 취향저격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8-12 40 510
3773 신냉전시대 도래와 식량안보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8-12 40 461
3772 사찰 음식과 콩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4-08-07 40 456
3771 김치의 한자 표현 신치(辛奇)로는 안된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4-08-07 40 448
3770 쌀 과제 풀어가는 지평의 확대 - 농민신문 관리자 2024-07-26 40 528
첫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