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삼겹살·채소 등 식품 수입 급증…한국 식량 '불안' - 메디컬투데이
[ 2011-11-30 11:10:14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8240        
링크 #1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171085 , Hit: 5755
삼겹살·채소 등 식품 수입 급증…한국 식량 '불안'


농수산물 수입은 급증…식량자급률 10% 미만



  우리나라 육식 중 대표격인 삼겹살을 필두로 축산물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마늘, 고추 등 농산물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한-미 FTA가 발효되면 우리나라 식량 확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시각이 크다.


관세청 ‘2011 주요 농축산물 품복별 수입동향’에 따르면 수입량 증감률은 ▲마늘(무탈피) 150.3% ▲마늘(탈피) 80.5% ▲고추류 74.8% ▲양배추 144.6% ▲밤 47.5% ▲설탕 485.3% 등 큰 폭으로 증가했다.


축산물 수입 또한 크게 증가했는데 구제역 매몰로 공급량이 급감소한 냉동 삼겹살이 51.3% 증가했으며 돼지고기 85%, 기타 냉동돼지고기 90%, 냉동 소갈비 34.4%, 냉동 닭다리 37.1%, 모짜렐라치즈 32.4% 등으로 늘었다.


뿐만 아니라 고등어 등 일부 수산물의 수입 증가폭도 크다.


올해 수입량이 증가한 주요 수산물은 냉동고등어는 86.1%, 냉동 대구는 46.7% 명태 25.2%, 냉동 오징어 75.1%, 냉장 바지락 126.5% 등이다.


이렇듯 먹을거리 수입이 증가하는 가운데 한-미 FTA가 발효되면 국내 농수산물의 가격경쟁력에 위협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생삼겹살은 대부분 캐나다와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이중 절반은 미국산이다. 미국산 생삼겹살에는 22.5%의 높은 수준의 관세가 부과되는데 한미FTA가 발효되면 1년에 2.2%씩 관세가 감소해 10년 후에 모두 철폐된다.


또한 미국산 체다치즈에 부과되던 36%의 관세가 10년간 철폐되고 일반치즈 관세 36%도 15년간 없어진다.


버터에 부과되던 89%의 관세는 10년 후에 철폐되며 밀크와 크림은 36%의 관세가 10~15년 후에 모두 철폐된다. 때문에 국내 낙농가들은 미국 대규모 단위의 낙농가와 경쟁해야 한다.


아울러 미국으로부터의 수입량이 많은 감자, 옥수수, 대두 등 주요 농산물의 관세도 변화가 분다.


현재 미국산 감자에 관세 304%가 부과되지만 연간 3000톤에 대해서는 무관세로 수입하게 되고 12월부터 4월 기간에 수입되는 칩용 감자에 대해서는 관세가 즉시 철폐된다.옥수수에 부과됐던 328%의 관세가 7년간 철폐되고 식용대두는 연간 1만톤이 무관세로 국내에 수입된다.


반면 우리나라의 식용곡물자급율은 매우 낮다.


농림수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식용곡물자급율은 2010년 기준 55% 수준이지만 이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쌀을 제외하면 8% 수준이다.


또한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소비자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사료를 포함한 곡물자급률을 보면 ▲2005년 29.4% ▲2006년 27.7% ▲2007년 27.2% ▲2008년 27.8% ▲2009년 29.6% ▲2010년 26.7% 등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다.


식량자급률은 한-미FTA가 발효되면 더욱 열악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10개 기관에서 합동 연구원 ‘한-미 FTA 경제적 효과 재분석’에 따르면 농산물 수입증가 등으로 국내 농업의 생산 감소액은 향후 15년간 연평균 8150억원에 달할 예정이다.


특히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축산업은 향후 15년간 연평균 4866억원의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산물 생산도 향후 15년간 연평균 295억원 수준 감소하며 원양산업의 주요 조업품목인 명태 등은 미국이 세계 최대 생산국으로서 한-미 FTA 발효에 따라 미국산 수입이 크게 늘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우리나라 식량안보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목소리가 크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식량안보는 OECD 국가중에서도 최하위로 3% 수준이다”며 “미국국 식량자급률이 120%에 달하기 때문에 한-미 FTA가 발효되면 경쟁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쌀·콩 등 곡류와 함께 고추·마늘 등 양념류, 배추·무·양파 등 채소류 등 기초 농산물에 대한 국가수매제를 도입해 식량안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고희정 기자(
megmeg@mdtoday.co.kr)




173/191, 총 게시물 : 3809
369 밀·대두·원당 등 국제 곡물가격 4~10% 급락 - 파이낸셜뉴스 관리자 2012-01-11 46 8412
368 수산 식량안보 위협…자급률 도입으로 넘는다 - 뉴시스 관리자 2012-01-11 46 9058
367 씨앗이 미래…신품종 개발 등 종자전쟁 본격화 -SBS 뉴스 관리자 2012-01-09 46 9343
366 2012년 식품안전 정책, 이렇게 달라집니다 - 헬스코리아뉴스 관리자 2012-01-04 46 8605
365 그라지아노 FAO 신임 사무총장, "식량가격 변동세 지속될 것" - 한국경제 관리자 2012-01-04 46 7851
364 농진청, ′세계 식량문제와 우리의 대응방안′ 보고서 발간 - 아시아 투데이 관리자 2012-01-02 46 8164
363 (2011결산-식품①) 지속적인 곡물가격 상승..'위기 또 위기' - 뉴스 토마토 관리자 2011-12-29 46 11180
362 [김영훈]김정일 사망과 식량난 완화가 가져올 한반도 정세 - 농민신문 관리자 2011-12-29 46 8660
361 국내 식량자급률 향상 위해…일본같은 ‘범국민운동’ 절실 - 농민신문 관리자 2011-12-26 47 8451
360 국제곡물가격 내년 상반기까지 안정 예상 - 주간 무역 관리자 2011-12-23 49 8147
359 한국의 미래적 관점에서 바라본 가축분뇨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1-12-22 47 7884
358 [사설]목표만 있고 전략은 없는 ‘한식 세계화’ - 농민신문 관리자 2011-12-21 47 7952
357 내년 식량위기 심상치 않다 - 시사 IN Live 관리자 2011-12-21 48 10453
356 ‘화학적합성품’ vs ‘천연첨가물’ 구분 재검토 필요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1-12-16 47 8524
355 [기고]단맛과 고감도 감미료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1-12-16 47 8320
354 이물관리, 정부 규제 심하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1-12-16 48 9774
353 식량전쟁 방송 보기 - 머니투데이 관리자 2011-12-06 1990 10073
352 [사설]거꾸로 가는 식량안보 - 농민신문 관리자 2011-12-06 47 8064
351 [특별기고]녹색성장을 이끄는 덴마크의 축산업 허가제 관리자 2011-12-05 47 8172
350 [특별기고]녹색성장시대의 축산업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1-12-05 47 10448
첫 페이지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