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식량안보, 해외농업개발로 활로 뚫어야 - 아시아투데이
[ 2013-02-19 16:25:03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116        
링크 #1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70016 , Hit: 5805

식량안보, 해외농업개발로 활로 뚫어야

* 2021년까지 곡물소비량 35% 해외서 확보 추진

아시아투데이 윤광원 기자(세종) =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이기도 한 식량안보는 해외농업개발로 활로를 열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해외 곡물 도입시에도 국가의 역할을 강화하고 수입국도 미국 위주서 다변화할 것을 주문한다.


19일 농림수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은 지난 2009년 29.6%에서 2010년 27.6%, 2011년에는 22.6%로 떨어졌다.


쌀을 제외한 주요 곡물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 식량안보가 매우 위태로운 상태다.


이에 따라 해외농업개발을 통해 '자급률'이 아닌 '자주율'을 제고하는 것이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도 해외농업개발로 오는 2021년까지 국내 곡물소비량의 35%를 확보할 계획이다.


민간의 해외농업개발을 적극 지원, 2011년 17만1000톤에 불과했던 자주개발 곡물 도입량을 2015년 306만톤, 2018년 498만톤, 2021년에는 700만톤까지 늘린다는 것.


이를 위해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30개 기업에 모두 972억원을 융자 지원했고 올해도 관련 예산 330억원을 책정했다.


작년말 현재 국내 106개 기업이 해외농업개발을 추진중이다.


농어촌공사는 올해 해외농업개발과 공적개발원조를 연계, 투자대상국과 윈윈 체제를 구축하고 민-관 협력모델을 통한 사업활성화, 융자대상 품목 및 담보범위 확대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컨트리리스크가 높은 국가에 민-관 협력 진출을 위해 공사가 직접 해외농업개발에 참여한다는 구상이다.


전문가들은 해외농업개발은 토지확보에 의한 직접 생산형도 필요하지만 유통단계에 참여, 곡물을 확보하는 유통형 진출도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또 철저한 사전 타당성 분석, 기술 및 자본의 확보, 효율적인 국내반입 시스템 구축, 효과적 정부지원체계 확립 등이 필요하다는 것.


김동환 안양대 교수는 "현재 해외농업개발은 생산 위주로 진행돼 국내반입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며 "아울러 현재 곡물 위주로 돼 있는 해외농업을 축산으로 확대, 곡물수입량을 감축하고 자급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민간 위주인 해외곡물 조달과정에서 국가의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를 중심으로 삼성물산, 한진, STX 등이 참여하고 있는 곡물수입회사의 조기 활성화와 아울러 현재 미국 위주인 국가곡물조달시스템을 러시아, 브라질로 확대해야 한다는 얘기다.


김 교수는 "국내는 물론 해외비축기지에 일정량의 식량을 비축하는 한편, 민간업체의 비축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곡물수입시장에서 점유율이 높은 한국, 일본, 중국이 협의체를 구성해 구매 교섭력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윤광원 기자 gwyoun@asiatoday.co.kr



158/191, 총 게시물 : 3809
669 종축업ㆍ부화업ㆍ대규모 가축사육업 허가 받아야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2-22 46 7768
668 식품 이물 “발생 원인 모른다” 80%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2-21 46 8467
667 식품이물 신고의무화 이후 매년 급감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2-20 46 7360
666 농림축산부 장관에 이동필 농촌경제연구원장 내정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3-02-20 46 7404
665 MSG, 제2의 사카린 되나 - 뉴스토마토 관리자 2013-02-19 46 8190
664 국내에서 외면 받는 MSG, 해외선 날개짓 - 아주경제 관리자 2013-02-19 46 21097
663 지자체와 식품업계 때아닌 MSG 논란 - 조선일보 관리자 2013-02-19 46 7283
식량안보, 해외농업개발로 활로 뚫어야 - 아시아투데이 관리자 2013-02-19 46 7117
661 안전성 입증된 MSG 사용하면 나쁜 음식점?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2-18 46 8347
660 식량위기와 식품업체의 대응전략 관리자 2013-02-18 1904 6874
659 식량안보 달성을 위한 지속가능한 식량시스템 구축 방안 관리자 2013-02-18 1759 7135
658 종자산업의 육성을 위한 기본 전략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2-15 46 7102
657 인수위 ´식품안전관리일원화´의 허구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2-15 46 7042
656 우리쌀 바로 알자 - 세계 식품과 농수산 2월호 관리자 2013-02-15 46 7078
655 미국서 매운맛 한국음식 인기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2-14 46 8431
654 [사설]한 끼 쌀밥 반공기로 국민건강 지켜지겠나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2-12 46 12567
653 중국이 세계 식량안전을 위협하나 - 내일신문 관리자 2013-02-07 46 7426
652 새정부 농정부처 명칭, ‘농림축산식품부’ - 농림축산 신문 관리자 2013-02-07 46 7590
651 국회 개원…정부조직 개편안 본격 논의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2-07 46 7201
650 “‘식품’ 빠진 조직개편안 식품산업 위기 초래”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2-06 46 8674
첫 페이지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