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칼로리 자급률 40.2%…사상 최저 뚝 - 농민신문
[ 2013-03-22 15:43:11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10156        
링크 #1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214920&subMenu=articletotal , Hit: 5837

칼로리 자급률 40.2%…사상 최저 뚝 ↓

2011년 식품수급표
3년 연속 쌀 생산량 내리막…2012년 40%선 위협
‘2015년 자급률 목표치 52% 달성’도 어려울 전망
탄수화물 위주 식습관에서 육류 중심 서구화 가속

 2011년 우리나라의 칼로리(열량) 기준 자급률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탄수화물 위주였던 우리나라 국민의 식습관이 고기·과일 중심의 서구식 식생활로 빠르게 바뀌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2011년 식품수급표’에 따르면 국제적인 식품자급도 지표인 칼로리 자급률은 2010년 49.3%에서 2011년에는 40.2%로 10%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이는 우리나라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권장방식에 따라 식품수급표를 작성한 1962년 이후 50년간 가장 낮은 수치다. 한국인 힘의 60%는 수입 먹거리에서 나오는 셈이다.


 ◆‘2015년 52% 자급 달성’ 목표 빨간불=칼로리 자급률은 먹거리 공급량을 칼로리로 환산했을 때 국내산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역대 자급률 추이를 보면 1970년 79.5%에서 1980년 70%, 1990년 62.6%, 2000년 50.6%로 계속해서 떨어졌고, 2007년에는 44.1%까지 주저앉았다.


 이에 정부는 2007년 ‘농업·농촌발전 기본계획’에 처음으로 식량자급률 목표치를 설정하는 등 자급률 끌어올리기에 나섰다. 이런 분위기와 맞물려 2008~2010년 칼로리 자급률은 48~50% 사이를 유지했다.


 그렇지만 2010년 쌀 흉작에 이어 2011년 기상이변으로 주요 농작물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자급률은 40% 선을 위협받게 됐다. 주식인 쌀 생산량이 최근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걸은 점을 감안하면 2012년 자급률은 40% 선이 붕괴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국민은 에너지의 55.8%(2011년 기준)를 쌀·밀과 같은 전분질 식품에서 얻었다.


 이에 따라 2011년 7월 재설정한 ‘2015년 칼로리 자급률 목표치 52%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미국·유럽연합(EU)·칠레와 같은 농산물 수출강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확산으로 농수산 분야의 생산 위축이 더욱 가속화할 게 뻔한 상황에서 자급률을 둘러싼 논란이 재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0~2011년 주요 식품의 자급률을 보면 곡물류가 28.1%에서 23.1%로 떨어졌고, 육류는 78.6%에서 68.8%로 10%포인트 가까이 하락했다. 육류 자급률이 급감한 원인은 2010년 말 발생한 구제역 여파로 350만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되면서 국내산 공급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이밖에 과실류가 81%에서 78.5%로 떨어지는 등 어패류·해조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식품 자급률이 내림세를 나타냈다.


 ◆서양식 식품 소비 급증=식품수급표는 우리 식단이 경제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서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거 영양섭취의 절대 비중을 차지했던 곡물은 1인당 하루 공급량이 1996년 470.6g에서 2011년엔 407.9g으로 15년 새 62.7g(13.3%)이나 줄었다. 쌀이 감소세를 이끌었고, 보리가 거들었다. 반면 과거 ‘구황작물’ 신세였던 옥수수는 최근 샐러드 재료 등으로 변신해 공급량이 68.9g에서 86g으로 오히려 늘었다. 견과류는 토종을 외국산이 대체하는 현상이 극명했다. 밤과 도토리의 소비가 줄었고 그 자리를 호두와 아몬드가 채웠다. 호두는 15년 새 8.7배, 아몬드는 4.8배나 늘었다.


 유럽이나 미국·일본 등 선진국보다 소비가 많은 채소류 공급량은 15년 동안 큰 변동이 없었다. 그렇지만 구체적 품목을 들여다보면 식생활 변화가 뚜렷했다. 김치의 주원료인 무·배추가 각각 34.3%와 5.7% 감소했다. 이에 반해 샐러드·햄버거 등 서양식 식단에 자주 등장하는 양배추가 29.2%, 젊은층에 인기가 높은 양상추는 350%나 늘었다.


 식생활 변화는 과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1인당 하루 과실류 공급량은 100.9g에서 122.35g으로 증가했다. 오렌지가 0.78g에서 5.13g으로 557.7%나 급증하는 등 바나나(160%)·자몽(40.9%)같은 수입과일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국내산 과일을 대표하는 사과는 46.7%나 줄어 대조를 이뤘다. 이밖에 육류가 93.2g에서 121.1g으로 27.9g(29.9%), 어패류도 94.3g에서 103.6g으로 9.3g(9.9%) 늘었다. 다만 어류는 62.9g에서 62g으로 소폭 감소했다. 이는 고등어·명태·갈치와 같은 찌개·조림용 생선 소비 감소 폭이 광어처럼 날로 먹는 생선 소비 증가를 앞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우리 국민 1인의 하루 에너지 공급량은 2011년 현재 2929㎉로 일본(2837㎉)·대만(2955㎉)과 비슷했고, 3400㎉ 수준인 유럽보다는 낮았다. 1980~1990년에는 연간 1%씩 증가했지만, 2001년 이후부터는 0.2%씩 감소했다.



 김상영 기자 supply@nongmin.com




156/191, 총 게시물 : 3809
709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발족에 즈음하여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4-01 46 6986
708 “기후변화로 2050년 쌀 자급률 55%” 예상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4-05 46 7426
707 “MSG는 평생 먹을 수밖에 없는 발효조미료”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4-05 46 7483
706 “과학적 근거 결론, 못 믿는 사람이 문제”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4-04 46 7969
705 이번 만큼은 유통문제 해결되길 기대한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4-01 46 7487
704 저소득층을 위한 쌀쿠폰 무상지급제도와 거버넌스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4-01 46 7290
703 [기고]쌀 증산 및 수요 창출 방안 정책제언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4-01 46 7419
702 식량자급률 어떻게 높일 것인가? - 내일신문 관리자 2013-03-30 46 7626
701 식품안전 컨트롤 타워 식품의약품안전처 출범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3-26 46 8811
700 2017년까지 식품산업 현장 전문인력 10만명 양성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3-26 46 7261
699 쌀국수·파스타 우리쌀로 만든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3-26 46 7166
698 “농축산업, 미래산업의 중심으로 키워야”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3-26 46 7200
697 aT, 해외곡물사업 실패 자초했다 - 농수축산신문 관리자 2013-03-25 46 7058
696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탄생 - 식품저널 관리자 2013-03-25 46 7190
칼로리 자급률 40.2%…사상 최저 뚝 - 농민신문 관리자 2013-03-22 47 10157
694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제고 기반은 논에 있다 - 공감코리아 관리자 2013-03-22 46 7978
693 식량안보기지 연해주가 뜬다 관리자 2013-03-22 46 7569
692 제주서 아시아 개도국의 식량 위기 워크숍 - 연합뉴스 관리자 2013-03-20 46 7119
691 정승 식약처장 “불량식품 근절·식의약품 안전강국 대책 조기마련”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3-19 46 7333
690 “식량전쟁 닥친다 식량안보에 관심 가져야” - CNB 저널 관리자 2013-03-18 46 7213
첫 페이지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