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김치 나트륨 등급 표시제’ 주장에 김치업계 반발 - 식품저널
[ 2013-08-23 10:15:40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7137        
링크 #1  
http://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556 , Hit: 5743

‘김치 나트륨 등급 표시제’ 주장에 김치업계 반발


김치협회, “김치 맛은 긴 세월 형성된 문화…자율표시 바람직”
2013년 08월 22일 (목) 16:43:16 이지현 기자 ljh0705@foodnews.co.kr

전통식품인 김치에 대해 나트륨 함량 등급제가 필요하다는 한국소비자원의 주장에 대해 김치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대한민국김치협회(회장 김순자)는 22일 ‘김치제품에 나트륨 함량 등급표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소비생활연구원의 주장에 대해 “나트륨을 줄이는 식생활을 보급하되 나트륨 함량 표시는 업계 자율에 맡겨 소비시장 위축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비자원과 소비생활연구원은 “시판 포기김치 16종을 대상으로 나트륨 함량을 분석한 결과, 100g 당 평균 643㎎이 들어있었다”면서 “이는 WHO 1일 권장섭취량 2,000㎎의 22.5%에 해당하는 적지 않은 양이어서 김치제품에 대해 나트륨 함량 등급표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협회는 “김치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저염김치 기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고, 나트륨 함량 표시는 제조업 자율 표시제로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협회는 “김치 맛은 한국인의 입맛이고, 긴 세월 형성된 문화인 만큼 문화를 변화시키는 데에는 시간을 필요하다”면서 “실제 지역환경에 따라 김치 맛은 차이를 보이고 있고, 짠맛 김치도 그 지역 전통식품으로서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제조김치의 맛이 소비자 기호에 따라 설정된 것이므로, 제조업에서의 일방적 제공이 아니라 소비자의 선호에 따른 시장대응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협회는 “김치는 발효식품인 만큼 소금의 변화는 젖산균의 활동이나 맛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면서 “보존효과를 가진 소금의 사용을 낮추는 만큼 저온유통시설 보완이 이뤄져야 하고, 바뀐 환경에서 김치를 잘 숙성시키는 젖산균도 발굴ㆍ보급해야 한다”며, “연매출 5억원 미만인 업체가 70% 이상인 김치제조업 특성상 소기업에는 어려움을 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세계적 건강식품으로 부각된 김치 식문화를 획일화하지 않고 지역적 특화 김치 맛 문화도 보존시키면서 나트륨을 줄이는 식생활을 보급하되, 저염김치가 시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나트륨 함량 기준의 단계적 도입 및 제조업 자율 표시제로 소비시장 위축을 막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191, 총 게시물 : 3809
3809 기체가 식량자원이 될 수 있다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5-03-06 0 148
3808 고추장 세계화를 위한 노력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5-02-18 0 148
3807 장수하는 사람들의 생활 엿보기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5-02-18 0 139
3806 고추장이 세계인에게 인기를 끌 이유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5-02-18 0 142
3805 Age-Tech에서 해야 할 일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5-02-13 0 123
3804 우리 주식(主食)이 바뀌고 있다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2-24 0 244
3803 세계인 매운맛 사랑…‘포스트라면’ 준비할 때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2-23 0 236
3802 농업의 미래, 기후변화 대응에 달려 있다 - 농수축산식문 관리자 2024-12-17 0 276
3801 전통장류 인식 전환의 계기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24-12-13 0 295
3800 세계적인 식량위기, 준비되어 있나? - 성서와 문화 98호 관리자 2024-12-12 142 240
3799 식량안보 위협하는 GMO 망령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2-11 0 247
3798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15년을 돌아보며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2-05 0 251
3797 쌀 생산, 수매정책 재설정 필요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1-28 0 261
3796 수천억 들인 새 종자, 국내 포기하고 해외로 - 조선일보 관리자 2024-11-27 0 283
3795 한식의 세계화, 그 가치와 철학을 함께 담아내기를 - 교수신문 관리자 2024-11-27 0 280
3794 식량안보연구재단 ‘고려대 식량안보연구소’로 확대 개편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1-25 0 264
3793 생사 넘나들며 아프간에 콩 전파 - 고려대 교우회보 관리자 2024-11-14 135 325
3792 홀 푸드(통식품)의 또 다른 추세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1-12 0 304
3791 ‘비빔밥’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 등재 시급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0-29 40 367
3790 GMO 감자 수입에 대한 생각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24-10-29 40 354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