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손문기 차장에게 거는 기대 - 식품음료신문
[ 2015-10-29 14:36:02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2848        
링크 #1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873 , Hit: 1520

손문기 차장에게 거는 기대


이철호(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이사장,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식품음료신문 | fnbnews@thinkfood.co.kr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1일 손문기 농축수산물안전국장을 식약처 차장으로 승진 발령했다고 보도했다. 손 차장은 대학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하고 5급 특채로 식약처에서 공직을 시작한 사람이다.

그동안 식품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식약처의 식품안전관리 업무가 확대되는 것에 비해 식품전공자들의 식약처 내 위상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데 대해 많은 사람들이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있었는데 반가운 소식이다.

분석기술의 발달과 생명과학의 진보로 인해 식품의 유용성과 위해성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일이 점점 어려워지고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약품은 먹을 수 없는 독성 물질을 질병이라는 위기상황에서 투여하는 물질인 반면에 식품은 먹을 수 있는 물질을 매일 안전하게 먹어야 하는 것이므로 식품의 안전관리는 약품과는 출발점이 다르고 관리체계도 달라야한다.

식품안전관리를 약품의 잣대로 잘못 예단하여 발생한 식품사고가 적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나친 우려와 불신을 초래한 경우가 많았다.

식품은 모든 사람이 필수적으로 먹어야 하는 물질이므로 원활한 공급과 식량안보 확보가 안전관리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다. 먹을 것이 부족하면 안전관리를 따질 겨를이 없으며, 안전하지 않으면 쌓아 놓고도 먹지 못한다. 식품 위생 또는 안전 수준이 높아질수록 먹을 수 있는 식품이 줄어들고 가격은 상승한다.

따라서 식품안전관리는 약품과는 달리 국민에게 필요한 식량 공급 능력과 안전관리 수준을 조정하여 원활한 식품 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식과 판단력을 배우는 학문 영역이 식품학이다. 손문기 차장의 발탁을 반기는 이유이다.

우리 사회에는 독성학을 잘못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위해요소(hazard)와 위험(risk)을 구분하지 못하고 완벽한 식품을 요구하는 경향이 크다. 과학적인 위해평가를 인정하지 않고 감상적인 불신을 키우는 개인과 단체들이 많다. 언론도 이러한 경향이 크다. 소비자의 알권리를 내세워 식품의 원활한 수급을 방해하는 요구를 쏟아내고 있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국가의 식품안전관리를 합리적으로 수행할 제대로 교육받은 인재들이 필요하다. 식품학 전공자들이 식품의 생산과 가공, 유통, 소비의 전 과정을 이해하고 합리적인 안전 관리를 하여 소비자들을 안심시켜야 한다.

이번 식약처의 인사를 계기로 하여 식품안전관리에 적합한 인재들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책임 있고 전문화된 식품안전관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9/18, 총 게시물 : 341
181 생명공학과 미래 식량위기 - 글로벌이코노믹 관리자 2015-12-03 1236 2907
180 쌀 문제, 통일 준비로 풀자 - 농민신문 관리자 2015-11-24 119 2831
179 제95회 한림원탁토론회 종합토론 개회사 관리자 2015-11-24 1309 2607
178 우리들의 사회적책임경영 - CNB저널 관리자 2015-11-12 119 2721
177 육식문화에 대한 WHO의 회초리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11-09 119 2953
손문기 차장에게 거는 기대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5-10-29 119 2849
175 쌀의 변신 - CNB저널 관리자 2015-10-15 119 2743
174 자서전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10-12 120 2629
173 통일미 비축 식품 언론이 앞장서길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5-09-21 121 2934
172 소위 ‘예방원칙’의 허(虛)와 실(失)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9-14 120 2757
171 알래스카 빙하 얼마나 남아 있나? - CNB저널 관리자 2015-09-14 120 3095
170 식품산업의 공익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8-18 120 2920
169 음식낭비 줄여 식량안보 달성할 방법 5 - CNB저널 관리자 2015-08-18 120 3224
168 흔들리는 식량안보, 자급률 OECD 최하위 - 자유마당 관리자 2015-08-17 2496 2947
167 교황의 기후변화 환경 메시지 - CNB저널 관리자 2015-07-20 121 2860
166 쌀 가공식품 연구 다시 시작하자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7-13 120 2906
165 식품안전은 준법정신에서 시작된다 - 글로벌이코노믹 관리자 2015-07-09 119 2996
164 스스로 책임지는 정의로운 사회를 위하여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6-29 122 2849
163 국민이 스스로 책임지는 사회 - CNB저널 관리자 2015-06-18 120 3158
162 건강기능식품법 재고할 때가 됐다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5-06-17 120 3130
첫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