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뉴스레터
>> 추천도서
>> 보고서
>> 논문
>> 발표/강의
>> 뉴스기사
>> 이사장 칼럼
>> 공지사항
 
고려대학교 식량안보연구소 ...

제   목  
식량을 통일 밀알로 삼아라 - 경인방송 더 스쿠프
[ 2013-07-19 14:48:21 ]
글쓴이  
관리자
조회수: 3303        
링크 #1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70 , Hit: 654
세상을 여는 窓

[CBSi The Scoop] 통일의 전제조건은 몇가지가 있다. 그중 하나가 식량정책이다. 통일 후 발생할 수 있는 식량쇼크에 대비하기 위해 식량비축제도를 법제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남·북한이 공동으로 식량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작업과 치밀한 통일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 한반도 통일로 가기 전 준비해야 할 것들이 산적해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식량준비다.

최근 한반도 통일을 두고 국내외 다양한 예측이 쏟아져 나온다. 통일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를 되돌아봐야 할 시점이다. 그동안 통일에 들어가는 비용의 추산작업이나 통일 이후 행정조직에 관한 논의는 이뤄졌다. 하지만 국가경영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식량수급에 관한 예측이나 식량확충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분단 60년 동안 남·북의 식량·영양 상태는 상이하게 전개돼 왔다. 남한은 가파른 경제성장으로 부족한 식량을 수입으로 채워나갔고 이로 인해 곡물자급률은 25%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북한은 극심한 식량난으로 국민 대다수가 영양부족 상태로 결핵을 비롯해 다양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남북통일을 식량과 영양문제 해결을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를 위해 남·북의 식량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작업과 치밀한 통일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통일 후 발생 가능한 식량쇼크를 슬기롭게 넘기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몇가지 제안하고 싶은 게 있다.

첫째, 통일 초기 발생 가능한 식량부족 사태를 대비해 식량비축제도를 법제화해야한다. 이를 위해 비축미 120만t 확보를 위한 법제화가 필요하다. 또한 통일식량 비축을 위한 투자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예산을 마련해야 한다. 통일특수에 대비해 남한의 식품산업시설 활용계획을 수립해 통일 후 식품 공급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

둘째, 남한의 식량생산능력을 높여야 한다. 통일 후 식량수요를 예측해 식량증산 계획을 세우고 식량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투자계획과 예산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식량자급률 목표치를 가능한 높게 설정하고 쌀과 식용콩의 증산과 자급을 달성해야 한다. 자급곡물에 대해서는 소비확대를 위한 수요창출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증산정책으로 전환해야

셋째, 수입사료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국내 축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북한의 산지럀地를 활용한 동물복지형 축산을 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료곡물의 수입을 줄이기 위한 조사료 자급계획 수립과 유럽형 축산업 허가제 도입이 필요하다. 이는 통일 후 한반도 환경과 삶의 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할 것이다.

넷째, 식량 확보를 위한 남북협력사업을 강화하는 한편 개성공단과 같이 농수산업특별지구와 식품산업특별지구를 개설·운영해야 한다.

농수산업특별지구를 통해 남한의 농업·어업 기술을 북한에 전수하고 북한의 식량생산 능력을 점진적으로 높이면 통일 후 급격한 식량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북한과 인접한 러시아 연해주에 남한의 기술·자본, 북한의 노동력을 투입하는 ‘삼각농업협력방식’도 추진할 수 있다.

다섯째, 통일을 한민족 식량영양 상태를 개선하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남한의 과소비, 과영양으로 인한 비경제적인 식습관을 개선하고 북한 주민의 만성적인 영양결핍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인 식량 영양 최적화 모델의 연구와 실현이 필요하다.

통일 이전에 무엇보다 먹고사는 게 준비돼야 한다. 남한의 식량농업정책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다. 쌀이 남아돈다고 생산을 억제하는 지금의 식량농업정책 으로는 통일을 준비할 수 없다.

쌀의 수요를 창출하고 통일을 대비해 이를 비축하는 ‘증산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확고한 정책의지와 투자가 시급하다. 통일을 대비해 식량자급률을 높여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농업을 살리고 통일 후를 대비해야 한다.




14/18, 총 게시물 : 341
식량을 통일 밀알로 삼아라 - 경인방송 더 스쿠프 관리자 2013-07-19 444 3304
80 식량안보에 대한 불편한 진실 - CNB저널 관리자 2013-07-15 116 3615
79 과학, 미래를 열다 - YTN SCIENCE 방송 출연 관리자 2013-06-28 122 3814
78 GMO, 이미 우리 밥상을 점령하고 있다 - CNB저널 관리자 2013-06-27 116 3799
77 식품안전관리 - 소비자 불안요인과 대처방안 관리자 2013-06-18 1940 3529
76 Life Devoted for Food Security - The Granite Tower (고대 영자신문) 관리자 2013-06-18 116 8876
75 [월요논단]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 - 식품외식경제 관리자 2013-06-10 117 3497
74 [뉴스 와이드]식탁 위 GMO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철호) - 채널A 관리자 2013-05-29 116 3941
73 GMO의 과학적 진실과 국제 정치 - CNB저널 관리자 2013-05-13 116 4122
72 GM식품 표시제 논란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5-13 116 3986
71 일본의 식량안보정책 동향과 시사점- 세계농업 제 152호 관리자 2013-04-18 1583 3814
70 저소득층 쌀 무상지원, 복지혜택 파급효과 크다 - CNB 저널 관리자 2013-04-18 116 4010
69 '과학의 진실성 확보: 이해관계와의 충돌을 관리하기 위한 제언' - 한림원 관리자 2013-04-15 1351 3639
68 과학이 보인다 - 추천의 글 관리자 2013-04-08 116 3262
67 저소득층을 위한 쌀쿠폰 무상지급제도와 거버넌스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4-01 116 3568
66 [기고]쌀 증산 및 수요 창출 방안 정책제언 - 식품음료신문 관리자 2013-04-01 116 3366
65 “식량전쟁 닥친다 식량안보에 관심 가져야” - CNB 저널 관리자 2013-03-18 116 3866
64 개방화 시대에 우리쌀을 지키려면 - 대한급식신문 관리자 2013-03-18 116 3504
63 최고의 밥맛은 즉석밥? - 식품외식경제신문 관리자 2013-03-07 116 4080
62 쌀과 식용콩만이라도 자급해야 - 중앙일보 이코노미스트 관리자 2013-02-25 1346 3855
첫 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